學術產出-Periodical Articles

Article View/Open

Publication Export

Google ScholarTM

政大圖書館

Citation Infomation

  • No doi shows Citation Infomation
題名 대만 한국학 교육 현황과 전문인력 양성의 문제점
作者 郭秋雯
Kuo, Chiu-wen
貢獻者 韓文系
日期 2016-09
上傳時間 24-Apr-2017 15:48:31 (UTC+8)
摘要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60년 동안 지속되어 왔으나 대만 정부의 영어를 위주로 한 외국어 인재 양성 정책 하에 한국학 인재 양성은 등한시 되었다. 대만의 한국학 인력은""한국어 구사는 가능하지만 한국학 전문 지식이 부족한 인재""와 ""한국학 전문지식은 갖추었지만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인재""로 나눌 수 있는데 두 분야의 전문가가 결합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가 된다. 대만에서의 한국학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은 한국 문화, 사회, 역사, 지리 등이 주를 이루고 있고 한국 경제, 국제관계나 정치 등 교과목이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교수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3개 대학 중, 특히 정치대와 문화대의 경우 설립 초기에 한국어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대부분 한국어학 또는 한국 문학 전공 교수를 초빙하였고 기타 분야 전공 교수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대만에서 한국학 인재양성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사자질 구조의 개선 2. 교사들의 전공분야를 초월한 다각적인 연구 협조 3. 정부차원의 장기적인 인재배양 전략 수립 4. 통역교육 심화 5. 한국어 전문가 반을 개설하거나 혹은 언어특훈반 실시 6. 정부와 산학연구 및 협력 7. 국제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배양 훈련 및 검증 제도 마련
Although the Korean studies in Taiwan lasted for 60 year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n affairs has paid little attention due to the Anglophile education policy by the Taiwanese education authorities. In this survey I attempt to divide human resources in Korean affairs in two different groups: First, ""a group of people who has good language skill lacking in knowledge of Korean affairs"", and ""the other group who has strong understanding in Korean studies lacking 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o reform this problem in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et up new integrated-educational objectives to foster student"s ability in language proficiency and knowledge in Korea. According to my survey, the subjects and coursed opened in Korean department at Taiwanese universities are mainly about Korean Culture, Society, History, and Geography, meanwhile Korean Politics and Economics are rarely taught. This tendency is strongly related the teacher and professor"s specialty and major.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department at Cheng-Chi University and Mun-wha University, the supreme goal of the departments was language acquisition and training language teacher. Reflecting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most of the professors in Taiwan is heavily weighted in Linguistics and Literature studies only. I believe that it hindered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in Taiwan. To make betterment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measures as following: 1. Improving quality of teacher and curriculums 2. Building up interdisciplinary program among various majors 3. Establishing a long-term educational program by educational authorities 4. Reinforc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grams 5. Developing a special supplemental language program 6. Government and industry-university"s cooperative research 7. Developing a special training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workings between Korea and Taiwan, and certification for them.
關聯 泮橋語文研究, 43, 1-21
資料類型 article
dc.contributor 韓文系
dc.creator (作者) 郭秋雯zh_TW
dc.creator (作者) Kuo, Chiu-wen
dc.date (日期) 2016-09
dc.date.accessioned 24-Apr-2017 15:48:31 (UTC+8)-
dc.date.available 24-Apr-2017 15:48:31 (UTC+8)-
dc.date.issued (上傳時間) 24-Apr-2017 15:48:31 (UTC+8)-
dc.identifier.uri (URI) http://nccur.lib.nccu.edu.tw/handle/140.119/109206-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60년 동안 지속되어 왔으나 대만 정부의 영어를 위주로 한 외국어 인재 양성 정책 하에 한국학 인재 양성은 등한시 되었다. 대만의 한국학 인력은""한국어 구사는 가능하지만 한국학 전문 지식이 부족한 인재""와 ""한국학 전문지식은 갖추었지만 한국어 구사 능력이 부족한 인재""로 나눌 수 있는데 두 분야의 전문가가 결합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가 된다. 대만에서의 한국학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은 한국 문화, 사회, 역사, 지리 등이 주를 이루고 있고 한국 경제, 국제관계나 정치 등 교과목이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교수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3개 대학 중, 특히 정치대와 문화대의 경우 설립 초기에 한국어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대부분 한국어학 또는 한국 문학 전공 교수를 초빙하였고 기타 분야 전공 교수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대만에서 한국학 인재양성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교사자질 구조의 개선 2. 교사들의 전공분야를 초월한 다각적인 연구 협조 3. 정부차원의 장기적인 인재배양 전략 수립 4. 통역교육 심화 5. 한국어 전문가 반을 개설하거나 혹은 언어특훈반 실시 6. 정부와 산학연구 및 협력 7. 국제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배양 훈련 및 검증 제도 마련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Although the Korean studies in Taiwan lasted for 60 year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n affairs has paid little attention due to the Anglophile education policy by the Taiwanese education authorities. In this survey I attempt to divide human resources in Korean affairs in two different groups: First, ""a group of people who has good language skill lacking in knowledge of Korean affairs"", and ""the other group who has strong understanding in Korean studies lacking 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o reform this problem in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et up new integrated-educational objectives to foster student"s ability in language proficiency and knowledge in Korea. According to my survey, the subjects and coursed opened in Korean department at Taiwanese universities are mainly about Korean Culture, Society, History, and Geography, meanwhile Korean Politics and Economics are rarely taught. This tendency is strongly related the teacher and professor"s specialty and major.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department at Cheng-Chi University and Mun-wha University, the supreme goal of the departments was language acquisition and training language teacher. Reflecting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most of the professors in Taiwan is heavily weighted in Linguistics and Literature studies only. I believe that it hindered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in Taiwan. To make betterment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measures as following: 1. Improving quality of teacher and curriculums 2. Building up interdisciplinary program among various majors 3. Establishing a long-term educational program by educational authorities 4. Reinforcing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rograms 5. Developing a special supplemental language program 6. Government and industry-university"s cooperative research 7. Developing a special training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workings between Korea and Taiwan, and certification for them.
dc.format.extent 121 bytes-
dc.format.mimetype text/html-
dc.relation (關聯) 泮橋語文研究, 43, 1-21
dc.title (題名) 대만 한국학 교육 현황과 전문인력 양성의 문제점zh_TW
dc.type (資料類型)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