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術產出-學位論文
文章檢視/開啟
書目匯出
-
題名 以台灣學習者需求分析為根基之教材分析研究 -以韓文系會話教材為中心
A study on textbook analysis based on Taiwanese learners’ needs analysis-focusing on Korean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department作者 李榮敬
Lee, Yeong Kyung貢獻者 朴炳善
李榮敬
Lee, Yeong Kyung關鍵詞 韓語教材分析
韓語會話教材
教材開發
韓語學習者要求分析
臺灣韓語學習者
臺灣韓語教育
統計分析
Korean textbook analysis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Textbook development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
Taiwanese learners of Kore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Statistical analysis日期 2017 上傳時間 31-七月-2017 11:23:44 (UTC+8) 摘要 本論文的研究目的在於提出以臺灣學習者的需求分析為根基之韓語會話教材分析之方法論,進而提出為了開發臺灣韓語系學生專用會話教材而需要之基礎資料。本論文的章節構造如下: 第一章提出本研究之必要性與目的,再來探討與本研究有關之先行研究。本論文把有關先行研究分為‘韓語教材分析基準有關研究’、‘韓語學習者需求分析有關研究’、‘同時牽涉到教材分析與學習者需求分析之研究’,進而探討各研究之有意之處以及有限之處。接著提出研究對象及研究方法。 在第二章,首先提出本論文所設定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 本論文以分析出‘教材的各部分多麼符合學習者的需求’為重點來設定了‘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此點為本論文所提出之‘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與先行研究所提出之教材分析標準不同之處。而本研究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略分為‘外在構成分析標準’及‘內在構成分析標準’,而內在構成分析是由‘學習目標與構成分析’、‘學習資料分析’、‘學習內容分析’以及‘學習活動分析’來構成的。接著提出本研究所使用的‘學習者需求分析問卷’之問題組成。‘學習者需求分析問卷’是由本研究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當中需要查出學習者需求之項目為中心來構成的。 在第三章,先分析出使用‘學習者需求分析問卷’來進行的問卷調查結果,進而以此分析結果及在第二章所提出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為主要根基來進行‘學習者別教材分析’。藉此得知本研究的問卷對象,也就是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以及某一私立韓語補習班學生針對現用的會話教材具有什麼樣的想法並且想要什麼樣的會話教材。加上,也可得知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以及某一私立韓語補習班學生共同在使用的『재미있는 한국어』1~6冊多麼符合兩個具有不同特性的學習者集團之需求。 透過教材分析結果而得知外在構成上的‘學習情境’及‘原文翻譯’方面都符合兩個學習者集團的需求,但是‘文法索引’方面皆不符合兩個學習者集團的需求。還有‘說明語言’及‘教材相關附屬物’方面大致上比較符合補習班學生的需求。而藉內在構成分析而得知 ‘會話功能’方面皆符合兩個學習集團的需求。還有‘主題’、‘學習活動方式’以及‘練習題類型’方面相對傾向於符合韓語系學生集團的需求。而‘發音’、‘文法’、‘詞彙’及‘文化’方面比較傾向於符合補習班學生集團之需求。 在第四章,為開發符合臺灣韓語系學生的需求之臺灣韓語系學生專用會話教材,以第三章的分析結果為根據而提出建議。建議略分為‘提升外在構成之建議’及‘提升內在構成之建議’其中‘提升外在構成之建議’包含‘說明語言方面、索引方面、教材相關附屬物方面、教材的學習狀況前提方面以及翻譯文方面’之建議。而‘提升內在構成之建議’涵蓋‘主題方面、會話功能方面、發音方面、文法方面、詞彙方面、文化方面以及學習活動方面’之建議。 第五章整理研究內容,進而提出本研究之意義和限制。本研究提出了以學習者需求分析為根基的韓語會話教材分析之方法論,這是與以往個別進行學習者需求分析及教材分析之既有研究不同之處,也就是本研究之意義所在。加上本論文是第一篇分析出針對韓語會話教材的臺灣學習者之需求,以此為根基來進行教材分析,而提出了為開發臺灣韓語學習者專用教材所需要之基礎資料。而到目前為止幾乎尚未有臺灣韓語學習者需求分析研究或周密分析臺灣韓語教材之研究,在此情況下本研究更具有意義。 不過本研究之有限之處在於問卷對象被侷限於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以及某一私立補習班學生。還有本論文以所分析的教材為基準,僅提出韓語系學生專用會話教材之開發方向,具體的開發方案或單元構成模型,有待後續研究。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extbook analysis based on Taiwanese learners’ needs analysis and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in Taiwan.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Chapter 1 states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provide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Existing literature can be classified into 3 topics: ‘the standards for Korean textbooks analysis related studies’,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 related studies’ and ‘studies that covers both Korean textbooks analysis and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 In addition, subject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also presented in chapter 1. Chapter 2 presents ‘the standards for analyzing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d the construction of the questionnaire applied in this study. This study has set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focusing on analyzing to what extent a textbook meets the needs of the learners. This is what distinguishes ‘the standards for analyzing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set by this study from the other standards for Korean textbook analysis presented by existing studies. We classify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into ‘the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external structures’ and ‘the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internal structures’. Internal structures analysis consists of ‘lesson goals and unit structure analysis’, ‘learning materials analysis’, ‘learning contents analysis’ and ‘learning activities analysis’. ‘The questionnaire for learners’ needs analysis’ applied in this study is mainly composed of chosen questions among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that needs to acquire learners’ needs for analyzing. Chapter 3 analyze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for learners’ needs analysis’ and conducts ‘textbook analysis by different learners’ based on both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mentioned in chapter 2 a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this analysis, we show the general opinions of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partment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and the students of one anonymous private institute. We document their opinions on the current conversation textbooks as well as the desired features of conversation textbooks from their perspective. Furthermore, we demonstrate how『재미있는 한국어』volume 1~6, which are used by both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partment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and the students of the anonymous private institute, meet the needs of these two groups of learn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ur result shows that in the external structures, needs in both ‘learning situation premise’ and ‘translation’ aspects are met in both groups. Needs in the ‘grammar index’ aspect, on the other hand, are not met in either group. In the ‘explanation language’ and ‘textbook appurtenances’ aspects, the textbooks coincide more with the needs of learners from the private institute in general. Looking at the internal structures,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ends to meet the needs of both groups. Besides, ‘themes’, ‘way of activities’ and ‘type of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end to coincide more with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general, while in ‘pronunciation’, ‘grammar’, ‘vocabulary’ and ‘culture’ aspects, the textbooks tend to coincide more with the needs of learners from the private institute on the whole. Chapter 4 offers suggestions on developing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in Taiwan based on the analyses of chapter 3. The suggestions ar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suggestions for the external structures’ improvement’ consist of ‘explanation language’, ‘index’, ‘textbook appurtenances’, ‘learning situation premise’ and ‘translation’ aspects. The composition of ‘suggestions for the internal structures’ improvement’, on the other hand, is ‘theme’, ‘communicative function’, ‘pronunciation’, ‘grammar’, ‘vocabulary’, ‘culture’ and ‘activity’ aspects.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 of this study and state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posed the methodology of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based on learners’ needs analysis,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that have conducted learners’ needs analysis and textbook analysis separately. Furthermor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has not only analyzed Taiwanese learners’ needs about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but also analyzed textbooks based on those needs analysis, which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textbooks for Taiwanese learners. Moreover, no study to our knowledge investigates Taiwanese learners’ needs or thoroughly analyzes Korean textbooks used in Taiwan, which is why this study bears big significanc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s that the target of the questionnaire has been limited to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partment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and the students of one anonymous private institute.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only suggested certain dir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in Taiwan. Detailed development plan or specific models of unit structure rely on future research.參考文獻 가패패(2015),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강승혜(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학습자를 대상으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251-250.강현화(2004), 「회화 교재의 주제 유형과 어휘: 한국어 교재와 외국어 교재의 비교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9,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pp39-64. 교우박(2011), 「중국의 한국어 교재 『정독』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국립국어원∙한국어세계화재단(2009), 「국내외 한국어 교재 백서」(국립국어원 연구 보고서 2009-01-13) 김미라(2010),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과제 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선정, 허용(1999), 「한국어 교재 선택법 및 학습 지도안 작성법」, 『이중언어학회』16, 이중언어학회, pp101-118.김순녀(2009),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재 편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순천향 인문과학논총』24,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249-274.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론적 배경, 효과적인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육한글』4, 한글학회, pp29-75.김영란(2003), 「중국에서의 한국어회화교재의 현황과 개선방안」, 『국제학술대회』1-11, 중한인문과학연구회, pp275-281.김영란(2009), 「한국어교육 교재의 변천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영만(2005),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김영선(2006),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한국어교육』17, pp12-18.김윤신(2014),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 자료의 개발과 활용 현황」, 『제 41차 국내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54-60. 김정우(2005),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99-129.김정우(2008),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연구」, 『한국어교육』19-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4.김정우(2012), 「중국의 한국어 고급 교재 분석」, 『한중인문학연구』35, 한중인문학학회, pp151-179. 김중섭•이관식(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1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61-81. 김중섭(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의 이론과 실제」, 『인문과학논집』12,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235-246.김중섭(2010),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개발 모형』, 국립국어원. 김중섭 외(2011),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김충실(2012), 「교재분석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개발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19,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pp61-80. 남연(2014), 「중국의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 개발 연구 -기존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교육』2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59-110. 담결(2010),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개발 방향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량징보(2015),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중국 출판 초급 말하기 교재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금현(2001),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105, 국어교육연구회, pp233-262. 민현식(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연구』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5-60. 박병선(2003), 「국어 공기관계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병선(2014), 「대만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어학』65, 한국어학회, pp25-42. 박병선(2015),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 현황 및 개선 방안 –국립정치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01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41-350. 박병선(2016), 「대만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향 모색 –교원 전문성 문제를 중심으로-」, 『국립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창립 60주년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정치대학교 한국문화교육중심•한국어문학과, pp93-112.박선옥(2009),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재 분석을 통한 교재 개발 방향 연구」, 『어문연구』37-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381-409.박영순(200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69-188.박은민(2014),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박정진(2010),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 및 과제: 국립국어원 개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6-2,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pp147-164. 방성원(2011),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47, pp91-626.배희임(1990), 「중국에서의 한국어학습을 위한 교재 연구」, 『이중언어학회』7, 이중언어학회, pp71-92.백봉자(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4, 한글학회, pp191-208.백봉자 외(2007), 『세종학당 교재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서종학(200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에 대한 試考」, 『울산어문논집』15, 울산대학교, pp19-44.서종학(2002), 「한국어 교재 평가의 실제」, 『국어교육』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pp89-110.서종학•이미향(2007), 『한국어교재론』, 태학사.손정일(2005), 「중국의 한국어 교재」, 『한국어교육론』1, 서울: 한국문화사, pp239-262. 안경화(2014), 「한국어 교육 자료의 개발과 활용」, 『제 41차 국내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37.엄녀(2007),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북경대학(北京大學) 조선문화연구소(朝鮮文化硏究所) 『한국어 1, 2』와 상해복단대학(上海復旦大學) 『초급한국어 (상, 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35-262.여금학(2015), 「중국 내 대학용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중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왕단(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 교육 연구에 대한 회고와 과제』, 한국문화사, pp65-93. 왕청동(2017), 「대만 내 한국어 교사 현황 및 현지화 교재 수요 탐구」, 『대만의 한국학 발전과 동아시아 한국어문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국립 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pp139-149.왕흠매(2015),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말하기 교재 분석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양(2010),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의 비교 분석과 개선 방안」,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관규(1995),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내용」, 『이중언어학』12-1, 이중언어학회, pp273-290.이병규 외(2005),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국립국어원. 이미향(2005), 「발음 교수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음운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정노(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에 있어서 고려할 몇 가지 문제」, 『교육한글』4, 한글학회, pp83-98. 이정희(2014),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어국문학』166, 국어국문학회, pp165-197.이정희, 장문정(2015), 「요구 분석을 통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용 읽기 교재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60, 이중언어학회, pp229-253. 李珠和•全娜榮•金鍾仁•金鉉哲(2010),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 『중국어문학논집』63, 중국어문학연구회, pp311-330.이지영(2004), 「근현대 한국어 교재 연구」, 『국어교육연구』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121-132. 이해영(2001ㄱ),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99-232.이해영(2001ㄴ), 「한국어 교재의 언어 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교육』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69-490.장광군(2000),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7-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79-97. 장석진(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교재 편찬에 관한 기초 연구」, 『언어교육』6-2, 서울대 어학연구소, pp69-107. 정성훈(2017), 「대만 내 대학교 한국어 교원의 재교육 문제 고찰」, 『대만의 한국학 발전과 동아시아 한국어문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국립 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pp129-133.정순훈 외(2009) 『국내외 한국어교재 백서』, 국립국어원‧한국어세계화재단.정정(2012),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조항록(2003ㄱ),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교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교재 개발의 현황과 주요 쟁점-」, 『한국어 교육』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49-278.조항록(2003ㄴ),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223-286.曾天富(2000),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제2회 한국어교육 국제학술회의 발표 논문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195-219. 진대연(1999),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연구와 적용」, 『국어교육학연구』9, 국어교육학회, pp407-434.진대연(2000), 「언어권별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 교재 사용자의 요구 조사 > 를 중심으로 -」, 『제10차 국제학술대회논문집』,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pp73-75. 진정란(2011), 「중국 대학 기관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고찰」, 『中國學 硏究』58, 중국학연구회, pp269-292.채련강•박병선(2007),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 –대만 한국어 교육 전반적 현황」, 『이중언어학』33, 이중언어학회, pp497-523. 최정순(1997), 「개발자(developer)로서의 교사 –교재 개발 및 교과 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역할-」, 『한국어교육』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1-159. 한송화(200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분석」, 『말』28, 연세대 한국어학당, pp331-362. 한재영 외(2005),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 호멍여(2013), 「중국 내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황인교(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69-284. 황인교(2003), 「국내•외 한국어 교재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287-329.황진재(2011). 「중국 내 한국어 교재 분석: 대학용 초급 정독교재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描述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3557001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3557001 資料類型 thesis dc.contributor.advisor 朴炳善 zh_TW dc.contributor.author (作者) 李榮敬 zh_TW dc.contributor.author (作者) Lee, Yeong Kyung en_US dc.creator (作者) 李榮敬 zh_TW dc.creator (作者) Lee, Yeong Kyung en_US dc.date (日期) 2017 en_US dc.date.accessioned 31-七月-2017 11:23:44 (UTC+8) - dc.date.available 31-七月-2017 11:23:44 (UTC+8) - dc.date.issued (上傳時間) 31-七月-2017 11:23:44 (UTC+8) - dc.identifier (其他 識別碼) G0103557001 en_US dc.identifier.uri (URI) http://nccur.lib.nccu.edu.tw/handle/140.119/111550 - dc.description (描述) 碩士 zh_TW dc.description (描述) 國立政治大學 zh_TW dc.description (描述) 韓國語文學系 zh_TW dc.description (描述) 103557001 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本論文的研究目的在於提出以臺灣學習者的需求分析為根基之韓語會話教材分析之方法論,進而提出為了開發臺灣韓語系學生專用會話教材而需要之基礎資料。本論文的章節構造如下: 第一章提出本研究之必要性與目的,再來探討與本研究有關之先行研究。本論文把有關先行研究分為‘韓語教材分析基準有關研究’、‘韓語學習者需求分析有關研究’、‘同時牽涉到教材分析與學習者需求分析之研究’,進而探討各研究之有意之處以及有限之處。接著提出研究對象及研究方法。 在第二章,首先提出本論文所設定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 本論文以分析出‘教材的各部分多麼符合學習者的需求’為重點來設定了‘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此點為本論文所提出之‘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與先行研究所提出之教材分析標準不同之處。而本研究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略分為‘外在構成分析標準’及‘內在構成分析標準’,而內在構成分析是由‘學習目標與構成分析’、‘學習資料分析’、‘學習內容分析’以及‘學習活動分析’來構成的。接著提出本研究所使用的‘學習者需求分析問卷’之問題組成。‘學習者需求分析問卷’是由本研究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當中需要查出學習者需求之項目為中心來構成的。 在第三章,先分析出使用‘學習者需求分析問卷’來進行的問卷調查結果,進而以此分析結果及在第二章所提出的‘韓語會話教材分析標準’為主要根基來進行‘學習者別教材分析’。藉此得知本研究的問卷對象,也就是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以及某一私立韓語補習班學生針對現用的會話教材具有什麼樣的想法並且想要什麼樣的會話教材。加上,也可得知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以及某一私立韓語補習班學生共同在使用的『재미있는 한국어』1~6冊多麼符合兩個具有不同特性的學習者集團之需求。 透過教材分析結果而得知外在構成上的‘學習情境’及‘原文翻譯’方面都符合兩個學習者集團的需求,但是‘文法索引’方面皆不符合兩個學習者集團的需求。還有‘說明語言’及‘教材相關附屬物’方面大致上比較符合補習班學生的需求。而藉內在構成分析而得知 ‘會話功能’方面皆符合兩個學習集團的需求。還有‘主題’、‘學習活動方式’以及‘練習題類型’方面相對傾向於符合韓語系學生集團的需求。而‘發音’、‘文法’、‘詞彙’及‘文化’方面比較傾向於符合補習班學生集團之需求。 在第四章,為開發符合臺灣韓語系學生的需求之臺灣韓語系學生專用會話教材,以第三章的分析結果為根據而提出建議。建議略分為‘提升外在構成之建議’及‘提升內在構成之建議’其中‘提升外在構成之建議’包含‘說明語言方面、索引方面、教材相關附屬物方面、教材的學習狀況前提方面以及翻譯文方面’之建議。而‘提升內在構成之建議’涵蓋‘主題方面、會話功能方面、發音方面、文法方面、詞彙方面、文化方面以及學習活動方面’之建議。 第五章整理研究內容,進而提出本研究之意義和限制。本研究提出了以學習者需求分析為根基的韓語會話教材分析之方法論,這是與以往個別進行學習者需求分析及教材分析之既有研究不同之處,也就是本研究之意義所在。加上本論文是第一篇分析出針對韓語會話教材的臺灣學習者之需求,以此為根基來進行教材分析,而提出了為開發臺灣韓語學習者專用教材所需要之基礎資料。而到目前為止幾乎尚未有臺灣韓語學習者需求分析研究或周密分析臺灣韓語教材之研究,在此情況下本研究更具有意義。 不過本研究之有限之處在於問卷對象被侷限於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以及某一私立補習班學生。還有本論文以所分析的教材為基準,僅提出韓語系學生專用會話教材之開發方向,具體的開發方案或單元構成模型,有待後續研究。 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extbook analysis based on Taiwanese learners’ needs analysis and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in Taiwan.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Chapter 1 states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provides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Existing literature can be classified into 3 topics: ‘the standards for Korean textbooks analysis related studies’,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 related studies’ and ‘studies that covers both Korean textbooks analysis and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 In addition, subject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also presented in chapter 1. Chapter 2 presents ‘the standards for analyzing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d the construction of the questionnaire applied in this study. This study has set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focusing on analyzing to what extent a textbook meets the needs of the learners. This is what distinguishes ‘the standards for analyzing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set by this study from the other standards for Korean textbook analysis presented by existing studies. We classify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into ‘the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external structures’ and ‘the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internal structures’. Internal structures analysis consists of ‘lesson goals and unit structure analysis’, ‘learning materials analysis’, ‘learning contents analysis’ and ‘learning activities analysis’. ‘The questionnaire for learners’ needs analysis’ applied in this study is mainly composed of chosen questions among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that needs to acquire learners’ needs for analyzing. Chapter 3 analyze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for learners’ needs analysis’ and conducts ‘textbook analysis by different learners’ based on both ‘the standards for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mentioned in chapter 2 an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this analysis, we show the general opinions of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partment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and the students of one anonymous private institute. We document their opinions on the current conversation textbooks as well as the desired features of conversation textbooks from their perspective. Furthermore, we demonstrate how『재미있는 한국어』volume 1~6, which are used by both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partment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and the students of the anonymous private institute, meet the needs of these two groups of learn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ur result shows that in the external structures, needs in both ‘learning situation premise’ and ‘translation’ aspects are met in both groups. Needs in the ‘grammar index’ aspect, on the other hand, are not met in either group. In the ‘explanation language’ and ‘textbook appurtenances’ aspects, the textbooks coincide more with the needs of learners from the private institute in general. Looking at the internal structures, ‘communicative func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ends to meet the needs of both groups. Besides, ‘themes’, ‘way of activities’ and ‘type of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end to coincide more with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majors in general, while in ‘pronunciation’, ‘grammar’, ‘vocabulary’ and ‘culture’ aspects, the textbooks tend to coincide more with the needs of learners from the private institute on the whole. Chapter 4 offers suggestions on developing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in Taiwan based on the analyses of chapter 3. The suggestions ar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suggestions for the external structures’ improvement’ consist of ‘explanation language’, ‘index’, ‘textbook appurtenances’, ‘learning situation premise’ and ‘translation’ aspects. The composition of ‘suggestions for the internal structures’ improvement’, on the other hand, is ‘theme’, ‘communicative function’, ‘pronunciation’, ‘grammar’, ‘vocabulary’, ‘culture’ and ‘activity’ aspects. Chapter 5 summarizes the content of this study and state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posed the methodology of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analysis based on learners’ needs analysis,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that have conducted learners’ needs analysis and textbook analysis separately. Furthermor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has not only analyzed Taiwanese learners’ needs about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but also analyzed textbooks based on those needs analysis, which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textbooks for Taiwanese learners. Moreover, no study to our knowledge investigates Taiwanese learners’ needs or thoroughly analyzes Korean textbooks used in Taiwan, which is why this study bears big significanc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s that the target of the questionnaire has been limited to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department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and the students of one anonymous private institute. An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only suggested certain dir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major students in Taiwan. Detailed development plan or specific models of unit structure rely on future research. en_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2 선행 연구 검토 31.2.1 한국어 교재 분석 기준 관련 연구 31.2.2 한국어 학습자 요구 분석 관련 연구 51.2.3 교재 분석과 학습자 요구 분석을 함께 다룬 연구 61.3 연구 대상 및 방법 82. 한국어 회화 교재의 분석 기준 및 한국어 회화 교재에 대한 학습 자 요구 분석 설문지의 문항 구성 142.1 한국어 회화 교재의 분석 기준 142.2 학습자 요구 분석 설문지의 문항 구성 183. 교재 분석 결과 293.1 1단계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교재 분석 결과 293.1.1 외적 구성 분석 293.1.2 내적 구성 분석 323.1.2.1 학습 목표 및 구성 분석 323.1.2.2 대화 및 학습 자료 분석 333.1.2.3 학습 내용 분석 353.1.2.4 학습 활동 분석 513.2 2단계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교재 분석 결과 583.2.1 외적 구성 분석 583.2.2 내적 구성 분석 603.2.2.1 학습 목표 및 구성 분석 603.2.2.2 대화 및 학습 자료 분석 603.2.2.3 학습 내용 분석 623.2.2.4 학습 활동 분석 773.3 3단계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교재 분석 결과 843.3.1 외적 구성 분석 843.3.2 내적 구성 분석 863.3.2.1 학습 목표 및 구성 분석 863.3.2.2 대화 및 학습 자료 분석 873.3.2.3 학습 내용 분석 893.3.2.4 학습 활동 분석 1063.4 4단계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교재 분석 결과 1133.4.1 외적 구성 분석 1133.4.2 내적 구성 분석 1153.4.2.1 학습 목표 및 구성 분석 1153.4.2.2 대화 및 학습 자료 분석 1163.4.2.3 학습 내용 분석 1173.4.2.4 학습 활동 분석 1334. 대만의 한국어 전공자용 회화 교재 개발을 위한 제언 1404.1 외적 구성 향상을 위한 제언 1404.2 내적 구성 향상을 위한 제언 1425. 결론 151<참고문헌> 154<부록 1> 전공자용 한국어 설문지 159<부록 2> 전공자용 중국어 설문지 171<부록 3> 학원 수강생용 한국어 설문지 181<부록 4> 학원 수강생용 중국어 설문지 193<부록 5> 본문에 생략된 1단계 학습자의 설문 분석 결과 203<부록 6> 1단계 학습자의 기타 문항 분석 결과 207<부록 7> 본문에 생략된 2단계 학습자의 설문 분석 결과 211<부록 8> 2단계 학습자의 기타 문항 분석 결과 215<부록 9> 본문에 생략된 3단계 학습자의 설문 분석 결과 220<부록 10> 3단계 학습자의 기타 문항 분석 결과 224<부록 11> 본문에 생략된 4단계 학습자의 설문 분석 결과 228<부록 12> 4단계 학습자의 기타 문항 분석 결과 232 zh_TW dc.format.extent 3426169 bytes - dc.format.mimetype application/pdf - dc.source.uri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3557001 en_US dc.subject (關鍵詞) 韓語教材分析 zh_TW dc.subject (關鍵詞) 韓語會話教材 zh_TW dc.subject (關鍵詞) 教材開發 zh_TW dc.subject (關鍵詞) 韓語學習者要求分析 zh_TW dc.subject (關鍵詞) 臺灣韓語學習者 zh_TW dc.subject (關鍵詞) 臺灣韓語教育 zh_TW dc.subject (關鍵詞) 統計分析 zh_TW dc.subject (關鍵詞) Korean textbook analysis en_US dc.subject (關鍵詞) Korean conversation textbook en_US dc.subject (關鍵詞) Textbook development en_US dc.subject (關鍵詞)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 en_US dc.subject (關鍵詞) Taiwanese learners of Korean en_US dc.subject (關鍵詞)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aiwan en_US dc.subject (關鍵詞) Statistical analysis en_US dc.title (題名) 以台灣學習者需求分析為根基之教材分析研究 -以韓文系會話教材為中心 zh_TW dc.title (題名) A study on textbook analysis based on Taiwanese learners’ needs analysis-focusing on Korean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department en_US dc.type (資料類型) thesis en_US dc.relation.reference (參考文獻) 가패패(2015),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교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강승혜(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학습자를 대상으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251-250.강현화(2004), 「회화 교재의 주제 유형과 어휘: 한국어 교재와 외국어 교재의 비교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9,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pp39-64. 교우박(2011), 「중국의 한국어 교재 『정독』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국립국어원∙한국어세계화재단(2009), 「국내외 한국어 교재 백서」(국립국어원 연구 보고서 2009-01-13) 김미라(2010),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과제 분석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선정, 허용(1999), 「한국어 교재 선택법 및 학습 지도안 작성법」, 『이중언어학회』16, 이중언어학회, pp101-118.김순녀(2009),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재 편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순천향 인문과학논총』24,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249-274.김영기(199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이론적 배경, 효과적인 교수법과 교재 개발」, 『교육한글』4, 한글학회, pp29-75.김영란(2003), 「중국에서의 한국어회화교재의 현황과 개선방안」, 『국제학술대회』1-11, 중한인문과학연구회, pp275-281.김영란(2009), 「한국어교육 교재의 변천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영만(2005),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김영선(2006),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한국어교육』17, pp12-18.김윤신(2014),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 자료의 개발과 활용 현황」, 『제 41차 국내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54-60. 김정우(2005),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국 교수∙학습자들의 요구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16-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99-129.김정우(2008),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연구」, 『한국어교육』19-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4.김정우(2012), 「중국의 한국어 고급 교재 분석」, 『한중인문학연구』35, 한중인문학학회, pp151-179. 김중섭•이관식(199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1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61-81. 김중섭(2003), 「한국어 교재 개발의 이론과 실제」, 『인문과학논집』12,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235-246.김중섭(2010),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개발 모형』, 국립국어원. 김중섭 외(2011),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김충실(2012), 「교재분석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개발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19,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pp61-80. 남연(2014), 「중국의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 개발 연구 -기존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교육』25-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59-110. 담결(2010),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개발 방향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량징보(2015),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중국 출판 초급 말하기 교재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금현(2001),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105, 국어교육연구회, pp233-262. 민현식(2000),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연구』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5-60. 박병선(2003), 「국어 공기관계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병선(2014), 「대만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어학』65, 한국어학회, pp25-42. 박병선(2015),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 현황 및 개선 방안 –국립정치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01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41-350. 박병선(2016), 「대만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향 모색 –교원 전문성 문제를 중심으로-」, 『국립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창립 60주년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정치대학교 한국문화교육중심•한국어문학과, pp93-112.박선옥(2009),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재 분석을 통한 교재 개발 방향 연구」, 『어문연구』37-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381-409.박영순(2003),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69-188.박은민(2014),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박정진(2010),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 및 과제: 국립국어원 개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6-2,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pp147-164. 방성원(2011),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47, pp91-626.배희임(1990), 「중국에서의 한국어학습을 위한 교재 연구」, 『이중언어학회』7, 이중언어학회, pp71-92.백봉자(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4, 한글학회, pp191-208.백봉자 외(2007), 『세종학당 교재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서종학(200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에 대한 試考」, 『울산어문논집』15, 울산대학교, pp19-44.서종학(2002), 「한국어 교재 평가의 실제」, 『국어교육』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pp89-110.서종학•이미향(2007), 『한국어교재론』, 태학사.손정일(2005), 「중국의 한국어 교재」, 『한국어교육론』1, 서울: 한국문화사, pp239-262. 안경화(2014), 「한국어 교육 자료의 개발과 활용」, 『제 41차 국내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37.엄녀(2007),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북경대학(北京大學) 조선문화연구소(朝鮮文化硏究所) 『한국어 1, 2』와 상해복단대학(上海復旦大學) 『초급한국어 (상, 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35-262.여금학(2015), 「중국 내 대학용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중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왕단(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 교육 연구에 대한 회고와 과제』, 한국문화사, pp65-93. 왕청동(2017), 「대만 내 한국어 교사 현황 및 현지화 교재 수요 탐구」, 『대만의 한국학 발전과 동아시아 한국어문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국립 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pp139-149.왕흠매(2015),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말하기 교재 분석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양(2010),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의 비교 분석과 개선 방안」,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관규(1995),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내용」, 『이중언어학』12-1, 이중언어학회, pp273-290.이병규 외(2005),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국립국어원. 이미향(2005), 「발음 교수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음운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정노(1991),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편찬에 있어서 고려할 몇 가지 문제」, 『교육한글』4, 한글학회, pp83-98. 이정희(2014),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어국문학』166, 국어국문학회, pp165-197.이정희, 장문정(2015), 「요구 분석을 통한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용 읽기 교재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60, 이중언어학회, pp229-253. 李珠和•全娜榮•金鍾仁•金鉉哲(2010),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 『중국어문학논집』63, 중국어문학연구회, pp311-330.이지영(2004), 「근현대 한국어 교재 연구」, 『국어교육연구』13,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121-132. 이해영(2001ㄱ),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99-232.이해영(2001ㄴ), 「한국어 교재의 언어 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교육』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69-490.장광군(2000),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국어교육연구』7-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79-97. 장석진(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교재 편찬에 관한 기초 연구」, 『언어교육』6-2, 서울대 어학연구소, pp69-107. 정성훈(2017), 「대만 내 대학교 한국어 교원의 재교육 문제 고찰」, 『대만의 한국학 발전과 동아시아 한국어문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국립 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pp129-133.정순훈 외(2009) 『국내외 한국어교재 백서』, 국립국어원‧한국어세계화재단.정정(2012),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조항록(2003ㄱ),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 -교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교재 개발의 현황과 주요 쟁점-」, 『한국어 교육』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49-278.조항록(2003ㄴ),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223-286.曾天富(2000), 「대만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제2회 한국어교육 국제학술회의 발표 논문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pp195-219. 진대연(1999),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연구와 적용」, 『국어교육학연구』9, 국어교육학회, pp407-434.진대연(2000), 「언어권별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 교재 사용자의 요구 조사 > 를 중심으로 -」, 『제10차 국제학술대회논문집』,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pp73-75. 진정란(2011), 「중국 대학 기관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고찰」, 『中國學 硏究』58, 중국학연구회, pp269-292.채련강•박병선(2007),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 –대만 한국어 교육 전반적 현황」, 『이중언어학』33, 이중언어학회, pp497-523. 최정순(1997), 「개발자(developer)로서의 교사 –교재 개발 및 교과 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역할-」, 『한국어교육』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1-159. 한송화(200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분석」, 『말』28, 연세대 한국어학당, pp331-362. 한재영 외(2005),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 호멍여(2013), 「중국 내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황인교(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69-284. 황인교(2003), 「국내•외 한국어 교재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8,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287-329.황진재(2011). 「중국 내 한국어 교재 분석: 대학용 초급 정독교재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zh_T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