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Theses

Article View/Open

Publication Export

Google ScholarTM

NCCU Library

Citation Infomation

Related Publications in TAIR

題名 韓國實境綜藝秀《無限挑戰》文本特色之探討─多元、虛實、鏡射
Discussion on the textual features of Korean real variety show "Infinite Challenge" - diversification, true and virtual world, mirroring
作者 賴芸軒
LAI, YUN-HSUAN
貢獻者 郭秋雯
KUO, CHIU-WEN
賴芸軒
LAI, YUN-HSUAN
關鍵詞 無限挑戰
韓國實境秀
韓國綜藝節目
文本分析
閱聽人
Infinite Challenge
Korean reality show
Korean variety show
text analysis
audience
日期 2019
上傳時間 1-Jul-2019 11:07:31 (UTC+8)
摘要 韓國實境綜藝節目(real variety)《無限挑戰》在韓國被譽為開創「實境綜藝秀」之節目體裁(genre)的始祖,在韓國電視圈具有權威性的地位。本文以該節目為研究對象,研究其發展歷程,並透過與受訪者的對談,檢驗本文的觀點是否與節目受眾的看法一致。本文先從最早做為韓國電視節目體裁之一的綜藝節目為始,電視台做為獨裁政府的政令宣導工具,進而影響了大眾對韓國電視節目公共性的追求。90年代全球掀起資訊娛樂化(infotainment)的浪潮,帶進了節目體裁混種的現象,歐美實境節目的盛行,則在韓國產生變異;爾後韓國在1997年發生IMF金融危機,來自景氣的外部因素連帶影響了韓國電視節目文本的發展。《無限挑戰》做為第一個韓國實境綜藝節目的文本,同時結合了「實境秀」和「綜藝節目」的特性。在實境秀的層次方面,韓國的實境秀力求賦予閱聽人真實的感受,基於韓國電視節目的公共性特質,閱聽人往往對節目的真實性擔任審查者的角色,審視節目是否符合「有限度的真實」;而在綜藝的層次方面,節目必須在娛樂與公共性之間取得平衡。《無限挑戰》以實驗性文本的策略,挑戰脫口秀、電影、音樂劇、新聞等體裁,實現綜藝節目的混種化。此外,《無限挑戰》將常見的變數(節目成員)與常數(節目形式)進行替換,著重於角色的真實性刻劃,活用人性美與帶入當事者私領域的技巧,塑造富有真實感的角色。《無限挑戰》的真實感同時來自於節目的「反身性(reflexivity)」策略,藉由凸顯產製方的存在,讓閱聽人觸及虛構中的真實;保留「失敗」結果的文本也是《無限挑戰》用以營造真實性的技巧之一。《無限挑戰》的文本亦具有反映時事的特色,展現對弱勢族群或環境的人文關懷,此策略也滿足了韓國社會對電視公共性的追求;善用「戲擬」(parody)的策略,兼具娛樂性與公共性,能滿足未涉略時事的閱聽人、也滿足了解讀出文本所指涉之時事的閱聽人。
The real variety show "Infinite Challenge" from Korea is the pioneering ancestor of genre, which is known as the "real variety show” in Korea. It has an authoritative representation in the Korean television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gram, by studying its development proces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spondents, to test whether the views of this article are consistent with the views of the program audience. This study begins with the variety show, which was first regarded as one of the Korean TV program genres. The TV station itself is a decree of the dictatorship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which in turn affects the public`s pursuit of the publicity of Korean TV programs. In the 1990s, a wave of infotainment was launched around the world, bringing in the hybrid phenomenon of the genre blending. Later, the popularity of reality show in Western cultural environment affected South Korea and caused variation. Later, South Korea experienced the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external factors from the boom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TV programs. "Infinite Challenge" is considered the text of the first Korean real variety show,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show" and "variety show". In the perspective of reality show, Korea`s reality show is mainly dedicated to giving audiences real feelings. Based on the public nature of Korean TV programs, the listener often acts as a reviewer for the authenticity of the program, thereby examining whether the program meets the "limited truth." At the level of the variety show, the program must strike a balance between entertainment and publicity. Infinite Challenge uses the experimental text strategy to challenge talk shows, movies, musicals, news and other genres to achieve the hybridization of variety shows. In addition, Infinite Challenge replaces common variables (program members) with constants (program formats), focusing on the character`s authenticity, and using the human beauty and the skills of the private sector to create a realistic character. The realism of Infinity Challenge also comes from show`s important strategy "reflexivity", which highlights the reality of fiction by highlighting the existence of the producer. In addition, retaining the text of the "failed" result is one of the techniques used by Infinite Challenge to create authenticity. The text of "Infinite Challenge"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events and can show the humanistic care for the disadvantaged groups or the environment. This strategy also satisfies the Korean society`s pursuit of television publicity.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parody" strategy is used to make the show both entertaining and public, to satisfy the audiences who are not involved in current events, and to meet the audiences who understand the current affairs referred to in the read text.
參考文獻 中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王雅慧,2014,《韓國發展文化產業軟實力之研究-以韓流現象為例》,碩士論文,南華大學。
朱玉君,2014,《由韓流看韓國如何打造文創產業及提升國家品牌形象》,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
江佩蓉,2004,《想像的文化圖景:韓流與哈韓族在台灣》,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7、53。
李怡瑩,2014,《喜歡韓綜、討厭韓國? 台灣的韓國綜藝節目閱聽人矛盾情結研究》,碩士論文,國立中正大學。
林金定、嚴嘉楓、陳美花,2005,〈質性研究方法:訪談模式與實施步驟分析〉,《身心障礙研究3卷2期》,頁124。
施佩姍,2013,《韓流在台灣的發展與成功因素分析》,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
范麗娟,1994,〈深度訪談簡介〉,《戶外遊憩研究7卷2期》,頁28、32。
夏春祥,2007,〈文本分析與傳播研究〉,《新聞學研究》,第54集,頁145。
張瑞星,2011,〈論電視節目版式之著作權保護》,《科技法學評論8卷2期》,國立交通大學科技法律研究所,頁117。
張維安,2001,〈文字模式線上訪談的特質及其限制〉,《資訊社會研究》,頁282。
莊幃婷,2011,《「偶像假結婚」作為理想浪漫婚姻典範?-韓國實境綜藝節目《我們結婚了》之台灣女性閱聽人分析》,碩士論文,國立台灣師範大學,頁25-27。
許如婷,2014,〈韓流在台灣:從實境/真人秀《Running Man》探討閱聽人的「迷」身份實踐〉,《2014年年會論文》,中華傳播學會。頁4-5。
郭力昕,2013,〈表演風潮下的迷思〉,《明道文藝第444期》,頁26。
陳怡如,2003,《綜藝節目色情與暴力內容效果--以台北市國民中學學生為例》,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頁5。
陳憶華,2007,《參考服務在國內檔案典藏單位應用之研究》,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
陳曉宜,2005,《報社記者抵抗資源之研究》,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31。
游美惠,2000,〈內容分析、文本分析與論述分析在社會研究的運用〉,《調查研究—方法與應用第8期》,中央研究院調查研究專題中心,頁15、17-19。
程紹淳,2010,〈瓊瑤電視戲劇風格的蛻變:《還珠格格》─一個類型(genre)的分析〉,《傳播與管理研究9卷2期》,南華大學傳播學系,頁12。
黃文卿、林晏州,1998,〈深度訪談之理論與技巧─以陽明山國家公園遊園專車推動為例〉,《國家公園學報8卷2期》,頁168-169。
黃意植,2015,〈韓國的電視媒體控制〉,《新聞學研究第122期》,政治大學新聞系。
楊 帆,2016,《韓國綜藝節目模式在中國的在地化探析---以《爸爸去哪兒》為例》,碩士論文,國立交通大學。
鄭淑文,2007,《紀實娛樂頻道節目全球在地化歷程探析—以Discovery在台灣的發展為例》,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81-82。
鍾志鵬,2006,《韓劇崛起關鍵因素之研究-韓流現象的觀察與學習》,碩士論文,國立臺灣師範大學。
簡妙如,2008,〈全球化中的「更真實」狂熱:真人實境節目的心理技術〉,《新聞學研究第94期》,政治大學新聞系。頁5、頁7-8。

專書:
Steve Bruce、Steven Yearley 著、鄭皓譯,2014,《社會學智典》,韋伯文化。
方偉達,2017,《期刊論文寫作與發表》,五南。
王泰俐,2004,《電視新聞感官主義》,五南。
朱柔若譯、W. Lawrence Neuman編,2000,《社會研究方法─質化與量化取向》,揚智。
陳儒修、郭幼龍譯、Robert Stam著,2012,《電影理論解讀》。台北:遠流。
楊大春,1995,《德希達》,台北:生智。
葉至誠、葉立誠,2011,《研究方法與論文寫作(3版)》,台北:商鼎。
潘淑滿,2003,《質性研究:理論與應用》,台北:心理。
鄭淑著、陳聖薇譯,2016,《韓國影視講義2:綜藝》,新北:大家。
羅夫‧錢森,沈若薇譯,2000,《夢想社會-後物質主義世代的消費》,麥格羅希爾。

韓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강운혁(2007), 「TV프로그램의 장르확장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드라마‘로맨스’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5(1)』, pp3-4.
김남일(2008),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 웃음유발의 정치성- MBC-TV 〈무한도전〉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6)』, pp35-36.
김보영, 강슬기, 김태욱(2008),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연구」,『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p493, p495.
김수정(2011),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방송문화연구 23(2)』, p42, p52, pp63-64.
김영만(2008),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서의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1박2일>, <패밀리가 떴다> 프로그램의 캐릭터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콘텐츠 Vol.2』, p128.
김영성(2014a),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무한도전>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학위논문. pp23-25, p73.
김영성(2014b),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자막에 나타난 서사성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한남어문학 Vol.38』, pp33-54.
김예란, 박주연(2006), 「TV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제작자 심층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3)』, pp7-48.
김용석(2009), 「오락 프로그램 자막의 오락적 효과에 대한 연구 : MBC <무한도전〉을 소재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p124.
김윤희(2014),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 <무한도전>,<1박2일>,<남자의 자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p15, pp22-25, p37, pp48-50, pp76-77, pp104-105.
김의권(2007),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확산과 즐거움에 관한 연구」, 『CERI 엔터테인먼트연구 Vol.8』, pp147-167.
김지연, 허철(2010), 「텔레비전을 통한 정치적 패러디: YTN돌발영상, KBS시사투나잇, MBC무한도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2)』, p223, p248.
김지원(2013),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MBC 무한도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p105.
김희정(2008), 「버라이어티쇼 장르 변화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노동렬(2015), 「방송 예능프로그램 포맷의 진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pp60-62.
문강형준(2007), 「<무한도전>과 신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시대 일상과 노동에 대한 ‘리얼 버라이어티쇼’」, 『문화과학 52권』, p386
박근서(2004), 「텔레비전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장르 특성」, 『방송문화연구 16(2)』, p40.
박용규(2014),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pp51-63.
배진아, 박주연(2010), 「TV포맷의 유형과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pp121-152.
배현주(2010), 「방송콘텐츠 분석을 통한 한국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에 대한 담론-MBC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차세대인문사회연구 6』, p319.
변영수(2008), 「오락 프로그램에 나타난 자막의 표현 형식 연구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Vol.41』, p81.
서병기(2011), 「오디션 열풍, 예능의 민주화- 투명한 경쟁, 쌍방형 커뮤니케이션」, 『방송작가 4월호』, pp16-19.
송 화(2009),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 연구-〈무한도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p79.
송순주(2007), 「TV오락프로그램에서 자막이 시청자 재미와 인지에 주는 영향: MBC 무한도전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p61.
신상기(2015), 「텔레비전 예능의 대중문화적 함의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p3.
옥민혜, 박동숙(2010),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텍스트성 : 리얼버라이어티 쇼 수용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4』, p73.
원용진, 주혜정(2002), 「텔레비전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dual co-evolution)」, 『한국방속학보 16(1)』, p300.
이경숙, 조경진(2010),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서바이버>와 <무한도전!> 비교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p105
이은정(2008),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 선호 요인 분석 -<무한도전>과 <1박 2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42-43, pp54-55, p62.
이창원, 김정현(2015), 「주말 저녁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다양성 변화(2004~2013)」, 『한국언론학보 59(3)』, pp266-267, p273.
정영희(2005), 「한국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연구 : 레이몬드 윌리암스의 `정서구조`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pp34-35, p48.
주창윤(2004),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2004.12』, pp105-106, p127.
차찬영, 박주연(2012), 『TV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의 변화 -2000년대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2(3)』, p528, pp533-554.
최성민(2010),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 TV 프로그램〈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8』, pp125-146.
최철웅(2008), 「누가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두려워하는가?」, 『문화과학 2008년 봄호 (통권 제53호)』, p374.
한형주(2009),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자막 생산과정에 관한 연구 –MBC’무한도전’, ‘우리 결혼 했어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방송영상학과 석사학위논문.
홍석경(2004),「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 장르 형성에 대한 연구」,『방송문화연구 제16-1호』, p265.

專書:
SBS(2001), 『SBS 10년사』, SBS.
강준만(2006), 『한국 근대사 산책 199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강준만(2007), 『한국대중매체사』, 인물과사상사.
권경우[외](2012), 『웃기는 레볼루션 : 무한도전에 대한 몇 가지 진지한 이야기들』, 서울: 텍스트.
김은영(2011), 『예능은 힘이 세다』, 파주: 글항아리.
박주연(2005),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배기형(2010), 『국경없는 TV, 경쟁하는 프로그램』,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종수(2004), 『TV 리얼리티 -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서울: 한나래.
정덕현[외](2014),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서울: 중앙북스.
최은경(2014), 『사실적 텔레비전과 방송 편성 문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창렬(2012), 『대한민국을 말한다』, 파주: 이담북스.
한진만[외](2013), 『방송학 개론: 2013개정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英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Dirk Eitzen (1995),When Is a Documentary?: Documentary as a Mode of Reception,Cinema Journal, Vol. 35, No. 1, p82.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pp197-203.
Jones, J. M. (2003), Show your real face: A fan study of the UK Big Brother transmissions (2000, 2001, 2002). Investigating the boundaries between notions of consumers and producers of factual television, New Media and Society, 5(3), pp419-420.
Richard Kilborn (1994), How Real Can You Get? :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 Television, European Journal of Cummunication, 9(4), pp421-439.

專書:
Couldry, N. (2003), Media rituals : a critical approach, Routledge.
Daya Kishan Thussu (2007), News as Entertainment: The Rise of Global Infotainment, Sage.
Gien Creeber (eds.) (2008), The Television Genre Book, Palgrave Macmillan.
John Fiske (1987),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Susan Murray, Laurie Ouellette (2008),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網路資料(按作者姓氏筆劃排序)
孔方正(2008)。質性研究。取自http://www.pws.stu.edu.tw/fckung/file/QR.pdf
毛予倩(2015/05/12)。韓國綜藝實地調查-現狀篇:跑男過氣爸爸出局。騰訊娛樂》。取自http://ent.qq.com/a/20150512/063362.htm
辛 佳(2015/11/06)。《康熙來了》壽終正寢,媒體人下診斷報告書!。新浪娛樂。
取自http://punchline.asia/archives/17204
易前良(2006/09/26)。韓劇:電視文本的文化旅行 以《大長今》為例。
取自http://media.people.com.cn/BIG5/40628/4858316.html
娛樂頻道(2015/08/27)。「不食人間煙火」 沈玉琳嗆金鐘評審。自由時報。
取自http://ent.ltn.com.tw/news/breakingnews/1425443
梁姍樺(2015/08/28)。「污辱整個綜藝圈就是不行」吳宗憲要求金鐘評審道歉說明。
風傳媒。取自http://www.storm.mg/article/63824
許逸群(2015/08/26)。金鐘入圍/綜藝節目獎險全部從缺?評審團「4大指正」。
ETtoday。取自http://star.ettoday.net/news/555481
談玉儀(2007/03/04)。羅蘭巴特:文本閱讀的歡愉。取自http://blog.udn.com/Dalloway68/787595
魯皓平(2015/08/27)。金鐘入圍名單從缺!台灣綜藝怎麼了?。遠見。
取自 http://www.gvm.com.tw/webonly_content_6122_1.html
JulyCaesar(2015/08/30). 무한도전에 나온 선영 씨 입양 사연이 제일 화나는 건....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bullpen2&id=3163411
learningkang(2011/06/14). 예능계의 서태지, 김태호를 만난다.
https://learnandrun.tistory.com/entry/%EA%B9%80%ED%83%9C%ED%98%B8-PD-interview
MIN(2014/04/11). 양심 냉장고 탄생배경.
http://nbamania.com/g2/bbs/board.php?bo_table=humor&wr_id=216523
YOMI(2015/08/30). 무한도전 선영씨 방송에 나오지 못한 입앵 사연.
http://yomiyomiyomi.tistory.com/549
고홍주(2008/04/12). `무한도전`이 만든 네 가지 예능 트렌드 공식. 마이데일리. http://media.daum.net/breakingnews/view.html?cateid=1005&newsid=20080412085308049&cp=mydaily&RIGHT_ENTER=R5
곽진성(2008/12/17). `죽은 마을` 오쇠동에도 봄은 올까.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264961
곽진성(2009/06/22). <무한도전> `여드름 브레이크` 상금 300만원, 사실은....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61201
국제앰네스티(2015/11/18). 제 18회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수상작 발표.
https://amnesty.or.kr/12058/
김명현(2011/07/07). 주병진 “몰래카메라 내가 만들었다”.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0703410851029
남승모(2012/12/05).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나왔다" 논란. SBS.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517596
모리, 〈예능계의 서태지, 김태호를 만난다〉, http://mori783.egloos.com/v/5364035
문성원(2015/09/10). `무한도전`, 국민예능 만든 4가지 구성요소. 스포츠조선.
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509110100116340007985&ServiceDate=20150910
바람나그네(2014/05/05). 무한도전의 세월호와 현 시국 풍자. 이게 진짜다.
https://fmpenter.com/2403
박희준(2013/01/14). 입양아 수출대국… 부끄러운 한국.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30113023078
신소영(2002/02/06). 나라도 못하는 기난 구제, 방송이라 될쏘냐.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5897
심수미(2010/04/17). 천안함 희생장병 추모 위해 지상파 3사 예능 모두 결방.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4115570
안희정(2015/12/17). 올해 시청자가 꼽은 최고 예능 프로그램은 `무한도전`. ZDNet Korea.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1217150424
온라인이슈팀(2014/09/20). `슈퍼스타K6` 송유빈, 슈퍼위크 불참으로 자동탈락…왜?.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92009120975508
우동균(2015/11/20). <무한도전>의 촌철살인, 역시 국민 예능답다!.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161820
유지윤(2011/06/05). 최성봉 예고출신 논란, 알고보니 성악과 졸업..“시청자 우롱”.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106051423169107
유창선(2009/03/29). 한승수 총리의 PD수첩 수사 압박.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264961
윤여수(2011/09/20), 1992년 ‘일밤’ 몰래카메라 방송수위 논란. 스포츠동아.
http://news.donga.com/3/all/20110919/40438334/5
이광표(2009/10/10). 예술, 정치를 만나다.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090928/8814668/1
이선필(2015/02/28). "시청자들한테 위험해"... 무한도전 징계, 정당했을까.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084772
이정민(2012). ’무한도전’, 예능 프로그램인가? 연예 프로그램인가?.
http://hangul.typographyseoul.com/tshangul/48060
이정환(2015/02/06). 김태호-유재석 뽀뽀, 경위서 한 장에서 시작됐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79167
이정환(2015/03/19). 대세를 뒤집어 놓은<무한도전>의 결정적 한 수.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89708
이준목(2007/11/05). 90년대의 몰카VS 2000년대의 몰카.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87901
장석우(2008/12/29). 버라이어티(Variety)란 무엇인가?. MBC.
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626
저자불명(1994/12/20). 문화체육부 분석 "오렌지족 특징 9가지".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home/view/1994/12/65346/
저자불명(2008/07/07). 美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일지.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080707211600004
저자불명(2010/04/02). `천안함 침몰` KBS, MBC, SBS 주말 간판예능 결방. 스포츠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02/2010040201894.html
저자불명(2013/08/08). MBC TV방송국 개국, 아파트뉴스.
http://www.apt-news.net/sub_read.html?uid=2584
저자불명(2015/04/16). `세월호 1주년` 해피투게더 등 방송사 주요 예능 결방 `애도 동참. 스포츠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16/2015041603395.html
정덕현(2011/03/03). 버라이어티쇼의 진화, ‘일밤’의 계보학. 엔터미디어.
http://www.entermedia.co.kr/news/print.html?idx=83
정솔희(2014/05/24). `무한도전` 선택 2014, 최종 투표자수 45만…차세대 리더는 누구?. OBS NEWS.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7450
정철운(2012/10/27). 유재석과 박명수로 한국 사회 ‘상식’ 보여줬다.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5680
최두선(2015/05/16). `무한도전` PPL 한 개, 열 광고 안 부럽다. e스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26093
최영주(2015/02/03). ’무한도전’광고, 없어서 못 판다. Pd JOURNAL.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492
허윤희(2007/03/18). SBS주말 예능프로 ‘올해는 안 풀리네’.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197109.html
홍세영(2015/07/07). ‘프로듀사’ ‘무한도전’, 2015 상반기 콘텐츠 파워 1위.
스포츠동아. http://sports.donga.com/3/02/20150707/72323926/1
황소영(2018/03/06). 종영 `무한도전` 브랜드 가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447387
韓國蓋洛普調查研究所:http://www.gallup.co.kr/
韓國尼爾森:http://www.nielsen.com/kr/ko.html
《無限挑戰》官方網站:http://www.imbc.com/broad/tv/ent/challenge/main.html
描述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2557005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2557005
資料類型 thesis
dc.contributor.advisor 郭秋雯zh_TW
dc.contributor.advisor KUO, CHIU-WENen_US
dc.contributor.author (Authors) 賴芸軒zh_TW
dc.contributor.author (Authors) LAI, YUN-HSUANen_US
dc.creator (作者) 賴芸軒zh_TW
dc.creator (作者) LAI, YUN-HSUANen_US
dc.date (日期) 2019en_US
dc.date.accessioned 1-Jul-2019 11:07:31 (UTC+8)-
dc.date.available 1-Jul-2019 11:07:31 (UTC+8)-
dc.date.issued (上傳時間) 1-Jul-2019 11:07:31 (UTC+8)-
dc.identifier (Other Identifiers) G0102557005en_US
dc.identifier.uri (URI) http://nccur.lib.nccu.edu.tw/handle/140.119/124234-
dc.description (描述) 碩士zh_TW
dc.description (描述) 國立政治大學zh_TW
dc.description (描述) 韓國語文學系zh_TW
dc.description (描述) 102557005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韓國實境綜藝節目(real variety)《無限挑戰》在韓國被譽為開創「實境綜藝秀」之節目體裁(genre)的始祖,在韓國電視圈具有權威性的地位。本文以該節目為研究對象,研究其發展歷程,並透過與受訪者的對談,檢驗本文的觀點是否與節目受眾的看法一致。本文先從最早做為韓國電視節目體裁之一的綜藝節目為始,電視台做為獨裁政府的政令宣導工具,進而影響了大眾對韓國電視節目公共性的追求。90年代全球掀起資訊娛樂化(infotainment)的浪潮,帶進了節目體裁混種的現象,歐美實境節目的盛行,則在韓國產生變異;爾後韓國在1997年發生IMF金融危機,來自景氣的外部因素連帶影響了韓國電視節目文本的發展。《無限挑戰》做為第一個韓國實境綜藝節目的文本,同時結合了「實境秀」和「綜藝節目」的特性。在實境秀的層次方面,韓國的實境秀力求賦予閱聽人真實的感受,基於韓國電視節目的公共性特質,閱聽人往往對節目的真實性擔任審查者的角色,審視節目是否符合「有限度的真實」;而在綜藝的層次方面,節目必須在娛樂與公共性之間取得平衡。《無限挑戰》以實驗性文本的策略,挑戰脫口秀、電影、音樂劇、新聞等體裁,實現綜藝節目的混種化。此外,《無限挑戰》將常見的變數(節目成員)與常數(節目形式)進行替換,著重於角色的真實性刻劃,活用人性美與帶入當事者私領域的技巧,塑造富有真實感的角色。《無限挑戰》的真實感同時來自於節目的「反身性(reflexivity)」策略,藉由凸顯產製方的存在,讓閱聽人觸及虛構中的真實;保留「失敗」結果的文本也是《無限挑戰》用以營造真實性的技巧之一。《無限挑戰》的文本亦具有反映時事的特色,展現對弱勢族群或環境的人文關懷,此策略也滿足了韓國社會對電視公共性的追求;善用「戲擬」(parody)的策略,兼具娛樂性與公共性,能滿足未涉略時事的閱聽人、也滿足了解讀出文本所指涉之時事的閱聽人。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The real variety show &quot;Infinite Challenge&quot; from Korea is the pioneering ancestor of genre, which is known as the &quot;real variety show” in Korea. It has an authoritative representation in the Korean television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gram, by studying its development proces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spondents, to test whether the views of this article are consistent with the views of the program audience. This study begins with the variety show, which was first regarded as one of the Korean TV program genres. The TV station itself is a decree of the dictatorship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which in turn affects the public`s pursuit of the publicity of Korean TV programs. In the 1990s, a wave of infotainment was launched around the world, bringing in the hybrid phenomenon of the genre blending. Later, the popularity of reality show in Western cultural environment affected South Korea and caused variation. Later, South Korea experienced the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external factors from the boom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TV programs. &quot;Infinite Challenge&quot; is considered the text of the first Korean real variety show,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quot;reality show&quot; and &quot;variety show&quot;. In the perspective of reality show, Korea`s reality show is mainly dedicated to giving audiences real feelings. Based on the public nature of Korean TV programs, the listener often acts as a reviewer for the authenticity of the program, thereby examining whether the program meets the &quot;limited truth.&quot; At the level of the variety show, the program must strike a balance between entertainment and publicity. Infinite Challenge uses the experimental text strategy to challenge talk shows, movies, musicals, news and other genres to achieve the hybridization of variety shows. In addition, Infinite Challenge replaces common variables (program members) with constants (program formats), focusing on the character`s authenticity, and using the human beauty and the skills of the private sector to create a realistic character. The realism of Infinity Challenge also comes from show`s important strategy &quot;reflexivity&quot;, which highlights the reality of fiction by highlighting the existence of the producer. In addition, retaining the text of the &quot;failed&quot; result is one of the techniques used by Infinite Challenge to create authenticity. The text of &quot;Infinite Challenge&quot;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events and can show the humanistic care for the disadvantaged groups or the environment. This strategy also satisfies the Korean society`s pursuit of television publicity.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quot;parody&quot; strategy is used to make the show both entertaining and public, to satisfy the audiences who are not involved in current events, and to meet the audiences who understand the current affairs referred to in the read text.en_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緒論 1
1. 研究動機 1
2. 文獻探討 5
3. 研究方法 10
3.1 文獻分析法 11
3.2 文本分析 11
3.3 深度訪談法 12
3.4 非參與觀察法 16
4. 研究內容與流程 17
II. 韓國的綜藝節目、實境節目、實境綜藝節目 22
1. 綜藝節目:公共性與娛樂性的角力 22
1.1 特徵 22
1.2 發展歷程 24
2. 實境節目:與歐美文化差異的展現 32
2.1 特徵 32
2.2 發展歷程 34
3. 實境綜藝節目與《無限挑戰》的發展歷程:走出韓國的風格 41
3.1 實境綜藝節目的特徵與發展歷程 41
3.2 《無限挑戰》的發展歷程 45
III. 《無限挑戰》的文本特色 52
1. 多元:實驗性文本與跳脫固定體裁 54
1.1 與主流區隔,實踐挑戰精神 54
1.2 模糊體裁界限 57
2. 虛實:角色與敘事的虛實並用 59
2.1 活用戲裡戲外、塑造專屬角色 59
2.2 玩轉真實與虛幻的敘事 71
3. 鏡射:對社會的反映與人文關懷 79
3.1 「大韓民國平均以下」的社會群體 79
3.2 公益性與娛樂性的巧妙平衡 93
IV. 結論 97
1. 研究發現 97
2. 研究限制 100
3. 後續研究建議 101
V. 參考文獻 103
VI. 附錄 113
1. 深度訪談受訪同意書樣式 113
2. 深度訪談提問內容(韓文原文) 115
zh_TW
dc.format.extent 3965478 bytes-
dc.format.mimetype application/pdf-
dc.source.uri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2557005en_US
dc.subject (關鍵詞) 無限挑戰zh_TW
dc.subject (關鍵詞) 韓國實境秀zh_TW
dc.subject (關鍵詞) 韓國綜藝節目zh_TW
dc.subject (關鍵詞) 文本分析zh_TW
dc.subject (關鍵詞) 閱聽人zh_TW
dc.subject (關鍵詞) Infinite Challengeen_US
dc.subject (關鍵詞) Korean reality showen_US
dc.subject (關鍵詞) Korean variety showen_US
dc.subject (關鍵詞) text analysisen_US
dc.subject (關鍵詞) audienceen_US
dc.title (題名) 韓國實境綜藝秀《無限挑戰》文本特色之探討─多元、虛實、鏡射zh_TW
dc.title (題名) Discussion on the textual features of Korean real variety show &quot;Infinite Challenge&quot; - diversification, true and virtual world, mirroringen_US
dc.type (資料類型) thesisen_US
dc.relation.reference (參考文獻) 中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王雅慧,2014,《韓國發展文化產業軟實力之研究-以韓流現象為例》,碩士論文,南華大學。
朱玉君,2014,《由韓流看韓國如何打造文創產業及提升國家品牌形象》,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
江佩蓉,2004,《想像的文化圖景:韓流與哈韓族在台灣》,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7、53。
李怡瑩,2014,《喜歡韓綜、討厭韓國? 台灣的韓國綜藝節目閱聽人矛盾情結研究》,碩士論文,國立中正大學。
林金定、嚴嘉楓、陳美花,2005,〈質性研究方法:訪談模式與實施步驟分析〉,《身心障礙研究3卷2期》,頁124。
施佩姍,2013,《韓流在台灣的發展與成功因素分析》,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
范麗娟,1994,〈深度訪談簡介〉,《戶外遊憩研究7卷2期》,頁28、32。
夏春祥,2007,〈文本分析與傳播研究〉,《新聞學研究》,第54集,頁145。
張瑞星,2011,〈論電視節目版式之著作權保護》,《科技法學評論8卷2期》,國立交通大學科技法律研究所,頁117。
張維安,2001,〈文字模式線上訪談的特質及其限制〉,《資訊社會研究》,頁282。
莊幃婷,2011,《「偶像假結婚」作為理想浪漫婚姻典範?-韓國實境綜藝節目《我們結婚了》之台灣女性閱聽人分析》,碩士論文,國立台灣師範大學,頁25-27。
許如婷,2014,〈韓流在台灣:從實境/真人秀《Running Man》探討閱聽人的「迷」身份實踐〉,《2014年年會論文》,中華傳播學會。頁4-5。
郭力昕,2013,〈表演風潮下的迷思〉,《明道文藝第444期》,頁26。
陳怡如,2003,《綜藝節目色情與暴力內容效果--以台北市國民中學學生為例》,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頁5。
陳憶華,2007,《參考服務在國內檔案典藏單位應用之研究》,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
陳曉宜,2005,《報社記者抵抗資源之研究》,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31。
游美惠,2000,〈內容分析、文本分析與論述分析在社會研究的運用〉,《調查研究—方法與應用第8期》,中央研究院調查研究專題中心,頁15、17-19。
程紹淳,2010,〈瓊瑤電視戲劇風格的蛻變:《還珠格格》─一個類型(genre)的分析〉,《傳播與管理研究9卷2期》,南華大學傳播學系,頁12。
黃文卿、林晏州,1998,〈深度訪談之理論與技巧─以陽明山國家公園遊園專車推動為例〉,《國家公園學報8卷2期》,頁168-169。
黃意植,2015,〈韓國的電視媒體控制〉,《新聞學研究第122期》,政治大學新聞系。
楊 帆,2016,《韓國綜藝節目模式在中國的在地化探析---以《爸爸去哪兒》為例》,碩士論文,國立交通大學。
鄭淑文,2007,《紀實娛樂頻道節目全球在地化歷程探析—以Discovery在台灣的發展為例》,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81-82。
鍾志鵬,2006,《韓劇崛起關鍵因素之研究-韓流現象的觀察與學習》,碩士論文,國立臺灣師範大學。
簡妙如,2008,〈全球化中的「更真實」狂熱:真人實境節目的心理技術〉,《新聞學研究第94期》,政治大學新聞系。頁5、頁7-8。

專書:
Steve Bruce、Steven Yearley 著、鄭皓譯,2014,《社會學智典》,韋伯文化。
方偉達,2017,《期刊論文寫作與發表》,五南。
王泰俐,2004,《電視新聞感官主義》,五南。
朱柔若譯、W. Lawrence Neuman編,2000,《社會研究方法─質化與量化取向》,揚智。
陳儒修、郭幼龍譯、Robert Stam著,2012,《電影理論解讀》。台北:遠流。
楊大春,1995,《德希達》,台北:生智。
葉至誠、葉立誠,2011,《研究方法與論文寫作(3版)》,台北:商鼎。
潘淑滿,2003,《質性研究:理論與應用》,台北:心理。
鄭淑著、陳聖薇譯,2016,《韓國影視講義2:綜藝》,新北:大家。
羅夫‧錢森,沈若薇譯,2000,《夢想社會-後物質主義世代的消費》,麥格羅希爾。

韓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강운혁(2007), 「TV프로그램의 장르확장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드라마‘로맨스’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5(1)』, pp3-4.
김남일(2008),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 웃음유발의 정치성- MBC-TV 〈무한도전〉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6)』, pp35-36.
김보영, 강슬기, 김태욱(2008),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연구」,『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p493, p495.
김수정(2011),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방송문화연구 23(2)』, p42, p52, pp63-64.
김영만(2008),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서의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1박2일>, <패밀리가 떴다> 프로그램의 캐릭터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콘텐츠 Vol.2』, p128.
김영성(2014a),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무한도전>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학위논문. pp23-25, p73.
김영성(2014b),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자막에 나타난 서사성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한남어문학 Vol.38』, pp33-54.
김예란, 박주연(2006), 「TV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제작자 심층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3)』, pp7-48.
김용석(2009), 「오락 프로그램 자막의 오락적 효과에 대한 연구 : MBC <무한도전〉을 소재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p124.
김윤희(2014),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 <무한도전>,<1박2일>,<남자의 자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p15, pp22-25, p37, pp48-50, pp76-77, pp104-105.
김의권(2007),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확산과 즐거움에 관한 연구」, 『CERI 엔터테인먼트연구 Vol.8』, pp147-167.
김지연, 허철(2010), 「텔레비전을 통한 정치적 패러디: YTN돌발영상, KBS시사투나잇, MBC무한도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2)』, p223, p248.
김지원(2013),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MBC 무한도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p105.
김희정(2008), 「버라이어티쇼 장르 변화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노동렬(2015), 「방송 예능프로그램 포맷의 진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pp60-62.
문강형준(2007), 「<무한도전>과 신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시대 일상과 노동에 대한 ‘리얼 버라이어티쇼’」, 『문화과학 52권』, p386
박근서(2004), 「텔레비전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장르 특성」, 『방송문화연구 16(2)』, p40.
박용규(2014),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pp51-63.
배진아, 박주연(2010), 「TV포맷의 유형과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pp121-152.
배현주(2010), 「방송콘텐츠 분석을 통한 한국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에 대한 담론-MBC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차세대인문사회연구 6』, p319.
변영수(2008), 「오락 프로그램에 나타난 자막의 표현 형식 연구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Vol.41』, p81.
서병기(2011), 「오디션 열풍, 예능의 민주화- 투명한 경쟁, 쌍방형 커뮤니케이션」, 『방송작가 4월호』, pp16-19.
송 화(2009),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 연구-〈무한도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p79.
송순주(2007), 「TV오락프로그램에서 자막이 시청자 재미와 인지에 주는 영향: MBC 무한도전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p61.
신상기(2015), 「텔레비전 예능의 대중문화적 함의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p3.
옥민혜, 박동숙(2010),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텍스트성 : 리얼버라이어티 쇼 수용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4』, p73.
원용진, 주혜정(2002), 「텔레비전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dual co-evolution)」, 『한국방속학보 16(1)』, p300.
이경숙, 조경진(2010),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서바이버>와 <무한도전!> 비교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p105
이은정(2008),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 선호 요인 분석 -<무한도전>과 <1박 2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42-43, pp54-55, p62.
이창원, 김정현(2015), 「주말 저녁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다양성 변화(2004~2013)」, 『한국언론학보 59(3)』, pp266-267, p273.
정영희(2005), 「한국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연구 : 레이몬드 윌리암스의 `정서구조`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pp34-35, p48.
주창윤(2004),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2004.12』, pp105-106, p127.
차찬영, 박주연(2012), 『TV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의 변화 -2000년대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2(3)』, p528, pp533-554.
최성민(2010),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 TV 프로그램〈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8』, pp125-146.
최철웅(2008), 「누가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두려워하는가?」, 『문화과학 2008년 봄호 (통권 제53호)』, p374.
한형주(2009),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자막 생산과정에 관한 연구 –MBC’무한도전’, ‘우리 결혼 했어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방송영상학과 석사학위논문.
홍석경(2004),「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 장르 형성에 대한 연구」,『방송문화연구 제16-1호』, p265.

專書:
SBS(2001), 『SBS 10년사』, SBS.
강준만(2006), 『한국 근대사 산책 199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강준만(2007), 『한국대중매체사』, 인물과사상사.
권경우[외](2012), 『웃기는 레볼루션 : 무한도전에 대한 몇 가지 진지한 이야기들』, 서울: 텍스트.
김은영(2011), 『예능은 힘이 세다』, 파주: 글항아리.
박주연(2005),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배기형(2010), 『국경없는 TV, 경쟁하는 프로그램』,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종수(2004), 『TV 리얼리티 -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서울: 한나래.
정덕현[외](2014),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서울: 중앙북스.
최은경(2014), 『사실적 텔레비전과 방송 편성 문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창렬(2012), 『대한민국을 말한다』, 파주: 이담북스.
한진만[외](2013), 『방송학 개론: 2013개정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英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Dirk Eitzen (1995),When Is a Documentary?: Documentary as a Mode of Reception,Cinema Journal, Vol. 35, No. 1, p82.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pp197-203.
Jones, J. M. (2003), Show your real face: A fan study of the UK Big Brother transmissions (2000, 2001, 2002). Investigating the boundaries between notions of consumers and producers of factual television, New Media and Society, 5(3), pp419-420.
Richard Kilborn (1994), How Real Can You Get? :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 Television, European Journal of Cummunication, 9(4), pp421-439.

專書:
Couldry, N. (2003), Media rituals : a critical approach, Routledge.
Daya Kishan Thussu (2007), News as Entertainment: The Rise of Global Infotainment, Sage.
Gien Creeber (eds.) (2008), The Television Genre Book, Palgrave Macmillan.
John Fiske (1987),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Susan Murray, Laurie Ouellette (2008),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網路資料(按作者姓氏筆劃排序)
孔方正(2008)。質性研究。取自http://www.pws.stu.edu.tw/fckung/file/QR.pdf
毛予倩(2015/05/12)。韓國綜藝實地調查-現狀篇:跑男過氣爸爸出局。騰訊娛樂》。取自http://ent.qq.com/a/20150512/063362.htm
辛 佳(2015/11/06)。《康熙來了》壽終正寢,媒體人下診斷報告書!。新浪娛樂。
取自http://punchline.asia/archives/17204
易前良(2006/09/26)。韓劇:電視文本的文化旅行 以《大長今》為例。
取自http://media.people.com.cn/BIG5/40628/4858316.html
娛樂頻道(2015/08/27)。「不食人間煙火」 沈玉琳嗆金鐘評審。自由時報。
取自http://ent.ltn.com.tw/news/breakingnews/1425443
梁姍樺(2015/08/28)。「污辱整個綜藝圈就是不行」吳宗憲要求金鐘評審道歉說明。
風傳媒。取自http://www.storm.mg/article/63824
許逸群(2015/08/26)。金鐘入圍/綜藝節目獎險全部從缺?評審團「4大指正」。
ETtoday。取自http://star.ettoday.net/news/555481
談玉儀(2007/03/04)。羅蘭巴特:文本閱讀的歡愉。取自http://blog.udn.com/Dalloway68/787595
魯皓平(2015/08/27)。金鐘入圍名單從缺!台灣綜藝怎麼了?。遠見。
取自 http://www.gvm.com.tw/webonly_content_6122_1.html
JulyCaesar(2015/08/30). 무한도전에 나온 선영 씨 입양 사연이 제일 화나는 건....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bullpen2&id=3163411
learningkang(2011/06/14). 예능계의 서태지, 김태호를 만난다.
https://learnandrun.tistory.com/entry/%EA%B9%80%ED%83%9C%ED%98%B8-PD-interview
MIN(2014/04/11). 양심 냉장고 탄생배경.
http://nbamania.com/g2/bbs/board.php?bo_table=humor&wr_id=216523
YOMI(2015/08/30). 무한도전 선영씨 방송에 나오지 못한 입앵 사연.
http://yomiyomiyomi.tistory.com/549
고홍주(2008/04/12). `무한도전`이 만든 네 가지 예능 트렌드 공식. 마이데일리. http://media.daum.net/breakingnews/view.html?cateid=1005&newsid=20080412085308049&cp=mydaily&RIGHT_ENTER=R5
곽진성(2008/12/17). `죽은 마을` 오쇠동에도 봄은 올까.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264961
곽진성(2009/06/22). <무한도전> `여드름 브레이크` 상금 300만원, 사실은....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61201
국제앰네스티(2015/11/18). 제 18회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수상작 발표.
https://amnesty.or.kr/12058/
김명현(2011/07/07). 주병진 “몰래카메라 내가 만들었다”.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0703410851029
남승모(2012/12/05).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나왔다" 논란. SBS.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517596
모리, 〈예능계의 서태지, 김태호를 만난다〉, http://mori783.egloos.com/v/5364035
문성원(2015/09/10). `무한도전`, 국민예능 만든 4가지 구성요소. 스포츠조선.
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509110100116340007985&ServiceDate=20150910
바람나그네(2014/05/05). 무한도전의 세월호와 현 시국 풍자. 이게 진짜다.
https://fmpenter.com/2403
박희준(2013/01/14). 입양아 수출대국… 부끄러운 한국.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30113023078
신소영(2002/02/06). 나라도 못하는 기난 구제, 방송이라 될쏘냐.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5897
심수미(2010/04/17). 천안함 희생장병 추모 위해 지상파 3사 예능 모두 결방.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4115570
안희정(2015/12/17). 올해 시청자가 꼽은 최고 예능 프로그램은 `무한도전`. ZDNet Korea.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1217150424
온라인이슈팀(2014/09/20). `슈퍼스타K6` 송유빈, 슈퍼위크 불참으로 자동탈락…왜?.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92009120975508
우동균(2015/11/20). <무한도전>의 촌철살인, 역시 국민 예능답다!.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161820
유지윤(2011/06/05). 최성봉 예고출신 논란, 알고보니 성악과 졸업..“시청자 우롱”.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106051423169107
유창선(2009/03/29). 한승수 총리의 PD수첩 수사 압박.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264961
윤여수(2011/09/20), 1992년 ‘일밤’ 몰래카메라 방송수위 논란. 스포츠동아.
http://news.donga.com/3/all/20110919/40438334/5
이광표(2009/10/10). 예술, 정치를 만나다.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090928/8814668/1
이선필(2015/02/28). "시청자들한테 위험해"... 무한도전 징계, 정당했을까.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084772
이정민(2012). ’무한도전’, 예능 프로그램인가? 연예 프로그램인가?.
http://hangul.typographyseoul.com/tshangul/48060
이정환(2015/02/06). 김태호-유재석 뽀뽀, 경위서 한 장에서 시작됐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79167
이정환(2015/03/19). 대세를 뒤집어 놓은<무한도전>의 결정적 한 수.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89708
이준목(2007/11/05). 90년대의 몰카VS 2000년대의 몰카.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87901
장석우(2008/12/29). 버라이어티(Variety)란 무엇인가?. MBC.
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626
저자불명(1994/12/20). 문화체육부 분석 "오렌지족 특징 9가지".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home/view/1994/12/65346/
저자불명(2008/07/07). 美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일지.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080707211600004
저자불명(2010/04/02). `천안함 침몰` KBS, MBC, SBS 주말 간판예능 결방. 스포츠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02/2010040201894.html
저자불명(2013/08/08). MBC TV방송국 개국, 아파트뉴스.
http://www.apt-news.net/sub_read.html?uid=2584
저자불명(2015/04/16). `세월호 1주년` 해피투게더 등 방송사 주요 예능 결방 `애도 동참. 스포츠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16/2015041603395.html
정덕현(2011/03/03). 버라이어티쇼의 진화, ‘일밤’의 계보학. 엔터미디어.
http://www.entermedia.co.kr/news/print.html?idx=83
정솔희(2014/05/24). `무한도전` 선택 2014, 최종 투표자수 45만…차세대 리더는 누구?. OBS NEWS.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7450
정철운(2012/10/27). 유재석과 박명수로 한국 사회 ‘상식’ 보여줬다.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5680
최두선(2015/05/16). `무한도전` PPL 한 개, 열 광고 안 부럽다. e스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26093
최영주(2015/02/03). ’무한도전’광고, 없어서 못 판다. Pd JOURNAL.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492
허윤희(2007/03/18). SBS주말 예능프로 ‘올해는 안 풀리네’.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197109.html
홍세영(2015/07/07). ‘프로듀사’ ‘무한도전’, 2015 상반기 콘텐츠 파워 1위.
스포츠동아. http://sports.donga.com/3/02/20150707/72323926/1
황소영(2018/03/06). 종영 `무한도전` 브랜드 가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447387
韓國蓋洛普調查研究所:http://www.gallup.co.kr/
韓國尼爾森:http://www.nielsen.com/kr/ko.html
《無限挑戰》官方網站:http://www.imbc.com/broad/tv/ent/challenge/main.html
zh_TW
dc.identifier.doi (DOI) 10.6814/NCCU201900041en_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