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術產出-Theses

Article View/Open

Publication Export

Google ScholarTM

政大圖書館

Citation Infomation

  • No doi shows Citation Infomation
題名 韓國語補助用言與中文對應表現研究─以去、來為中心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uxiliary Verb and Their Equivalent Expressions in Chinese : Focused on `-a/e kata` and `-a/e ota`
作者 張祐瑄
貢獻者 朴炳善
張祐瑄
關鍵詞 韓語學習
補助用言


韓中語言比較
日期 2015
上傳時間 1-Sep-2015 16:29:39 (UTC+8)
摘要 本研究的目的在於能讓以中文為母語的韓語學習者,能夠更快速且深刻理解韓語補助用言‘(-어)가다’和‘(-어) 오다’,並進一步期許藉由本研究的結果,學習者們得以將此文法表現確實的應用於日常生活與對話當中。
「補助用言」是中文母語者學習韓語時,感到困難且容易出現誤用情況的文法範疇之一,尤其韓語之中「補助用言」的運用相當發達,而中文之中雖然亦有與其對應之「補語 」的概念,但與韓語的「補助用言」相較之下,兩種文法概念雖然相似,但分別屬於兩個語言的框架之中,仔戲相比,兩者概念的判別基準與定義以及使用情況分佈,有著相當程度的落差。韓語「補助用言」之中的‘(-어)가다’和‘(-어)오다’,若將其直接認知為中文的「趨向補語」,而翻譯為「動詞+去」和「動詞+來」的話,反而容易產生誤用,甚至在某些特殊的用法時,是找不到韓中兩語言的對應關係的。
因此本研究從中文母語者學習韓語時面臨困難的「補助用言」範疇之中,選出‘(-어)가다’和‘(-어)오다’這一組類型,以中文母語者的角度對其各種用法進行分析,並依循找出其對應的中文。首先,為了釐清韓語補助用言‘(-어)가다’和‘(-어)오다’對於中文母語者的學習困難,將會依據先行研究(既存研究)鉅細靡遺地揭露韓語補助用言的各種特色,以及其中‘(-어)가다’和‘(-어)오다’的各項用法分類。接著,將語言資料庫的內容以抽樣篩選的方式,檢視補助用言‘(-어)가다’和‘(-어)오다’各種用法的使用分佈情形,進而比對先行研究之中的分類法是否符合語言使用者的使用情形。最後,將整理韓語補助用言‘(-어)가다’和‘(-어)오다’所對應的各項中文表現,並概略的比較韓語與和中文之間的的使用方式之異同。
參考文獻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어)
1. 고영진(1997),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풀이씨의 경우”, 어학연구6-1, 서울:서울대
2.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용법편”,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3. 김미영(1998), “국어 용언의 접어화”, 서울:한국문화사
4. 김성화(1991), “국어의 상 연구”, 서울:한신문화사
5. 김지은(1998),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6. 박선옥(2005), “국어 보조동사의 통사와 의미 연구”, 서울:역락.
7.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10), “한국어3”, 서울:[주]문진미디어.
8. 손세모돌(1996), “국어 보조용언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9. 안주호(1997),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10. 이성하(1998), “문법화의 이해”, 서울:한국문화사.
11. 임호빈(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

(중국어)
1. 房玉清(2008),實用漢語語法,北京:北京語言大學出版社。
2. 鄧守信(2011)譯,劉月華、潘文娛、故韡 著,實用現代漢語語法,台北:師大書院有限公司。
3. 呂叔湘(1980),現代漢語八百詞,北京:商務印書館。



학위 논문
1. 박주형(2013), “보조용언의 문법화와 어휘화 연구”,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 소림(2011), “한국어 ‘가다/오다’의 중국어 대응 형식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3. 웨이자오(2013), “한국어와 중국어 상의 문법화 대조 연구-‘-(고) 있-’과 ‘著’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4. 이남(2009), “한국어 보조용언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있다, 가다, 오다’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5. 이양(2014), “한국어 보조동사 ‘-어 가다, -어 오다’에 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6. 장용(2011), “한국어 ‘오다/가다’와 중국어 ‘來/去’의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7. 최대희(2002), “국어 풀이씨의 문법화 과정 연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학술 논문
1. 박선옥(2004), “외국어로서 한국어 보조동사 ‘가다’와 ‘오다’의 교육”, 漢城語文學, 제23집, pp. 161~186
2. 왕례량(2006), “한국어 보조용언과 중국어와의 대조 연구”, 문법 교육 5, 한국문법교육학회, pp. 261~297
3. 이남(2010), “한국어 ‘가다, 오다’와 중국어 대응 표현연구”, 문창어문논집, Vol: 47, pp. 109~130
4. 이연옥(2011), “이동 동사 ‘가다/오다’의 사용 양상에 대한 고찰 - 중국어 이동 동사 ‘去/來’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pp. 31~39.
5. 최해주(2006),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용언의 의미 범주 설정 및 그 활동 방안”,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pp. 125~159
6. 호광수(1999), 보조용언의 문법화 과정, 조선대 인문과학연구, 제21집, pp. 391~409



사전
(한국어)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2009)『고려대 한국어대사전』
2. 국립국어연구원(1999)『표준국어대사전』
3.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1998)『연세 한국어사전』
4. 이희자, 이종희(2008),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 서울:한국문화사

(중국어)
1. 中国社会科技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1997) ,現代漢語辭典,北京:商務印書館。
2. 周行健(1997) ,現代漢語規範用法大辭典,学苑出版社。
3. 辭海編輯委員會 (1999) ,辭海,上海:上海辭書出版社。
描述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1557002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1557002
資料類型 thesis
dc.contributor.advisor 朴炳善zh_TW
dc.contributor.author (Authors) 張祐瑄zh_TW
dc.creator (作者) 張祐瑄zh_TW
dc.date (日期) 2015en_US
dc.date.accessioned 1-Sep-2015 16:29:39 (UTC+8)-
dc.date.available 1-Sep-2015 16:29:39 (UTC+8)-
dc.date.issued (上傳時間) 1-Sep-2015 16:29:39 (UTC+8)-
dc.identifier (Other Identifiers) G0101557002en_US
dc.identifier.uri (URI) http://nccur.lib.nccu.edu.tw/handle/140.119/78113-
dc.description (描述) 碩士zh_TW
dc.description (描述) 國立政治大學zh_TW
dc.description (描述) 韓國語文學系zh_TW
dc.description (描述) 101557002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本研究的目的在於能讓以中文為母語的韓語學習者,能夠更快速且深刻理解韓語補助用言‘(-어)가다’和‘(-어) 오다’,並進一步期許藉由本研究的結果,學習者們得以將此文法表現確實的應用於日常生活與對話當中。
「補助用言」是中文母語者學習韓語時,感到困難且容易出現誤用情況的文法範疇之一,尤其韓語之中「補助用言」的運用相當發達,而中文之中雖然亦有與其對應之「補語 」的概念,但與韓語的「補助用言」相較之下,兩種文法概念雖然相似,但分別屬於兩個語言的框架之中,仔戲相比,兩者概念的判別基準與定義以及使用情況分佈,有著相當程度的落差。韓語「補助用言」之中的‘(-어)가다’和‘(-어)오다’,若將其直接認知為中文的「趨向補語」,而翻譯為「動詞+去」和「動詞+來」的話,反而容易產生誤用,甚至在某些特殊的用法時,是找不到韓中兩語言的對應關係的。
因此本研究從中文母語者學習韓語時面臨困難的「補助用言」範疇之中,選出‘(-어)가다’和‘(-어)오다’這一組類型,以中文母語者的角度對其各種用法進行分析,並依循找出其對應的中文。首先,為了釐清韓語補助用言‘(-어)가다’和‘(-어)오다’對於中文母語者的學習困難,將會依據先行研究(既存研究)鉅細靡遺地揭露韓語補助用言的各種特色,以及其中‘(-어)가다’和‘(-어)오다’的各項用法分類。接著,將語言資料庫的內容以抽樣篩選的方式,檢視補助用言‘(-어)가다’和‘(-어)오다’各種用法的使用分佈情形,進而比對先行研究之中的分類法是否符合語言使用者的使用情形。最後,將整理韓語補助用言‘(-어)가다’和‘(-어)오다’所對應的各項中文表現,並概略的比較韓語與和中文之間的的使用方式之異同。
zh_T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 서론 - 5 -
1.1 연구동기 및 연구목적 - 5 -
1.2 연구방법과 연구내용 - 17 -
1.3 선행연구 - 18 -
2. 이론적 배경 - 25 -
2.1 보조용언의 문법화 - 25 -
2.1.1 문법화의 개념 - 25 -
2.1.2 보조용언의 문법화 과정 - 26 -
2.2 보조용언 ‘(-어) 가다’와 ‘(-어) 오다’의 용법 분류 - 35 -
2.2.1 보조용언 ‘(-어) 가다’의 의미 용법 - 37 -
2.2.1.1 상 의미 - 38 -
2.2.1.2 양태 의미 - 42 -
2.2.2 보조용언 ‘(-어) 오다’의 의미 용법 - 45 -
2.2.2.1 상 의미 - 45 -
2.2.2.2 양태 의미 - 48 -
3. 말뭉치에 근거한 보조용언 ‘(-어) 가다’와 ‘(-어) 오다’의 의미 분석 - 50 -
3.1 보조용언 ‘(-어) 가다’와 ‘(-어) 오다’의 실제 사용 양상 분포 - 50 -
3.1.1 보조용언 ‘(-어) 가다’ - 50 -
3.1.2 보조용언 ‘(-어) 오다’ - 57 -
3.2 보조용언으로서의 ‘가다’와 ‘오다’와 본용언의 유연성 - 64 -
3.2.1 ‘가다’의 사전적 의미 - 64 -
3.2.2 ‘오다’의 사전적 의미 - 78 -
4. 보조용언 ‘(-어) 가다’와 ‘(-어) 오다’ 중국어와의 대비 - 88 -
4.1 보조용언‘(-어) 가다’와 ‘(-어) 오다’와 중국어의 대응 표현 - 90 -
4.1.1 보조용언‘(-어) 가다’와 중국어의 대응 표현 - 90 -
4.1.2 보조용언‘(-어) 오다’와 중국어의 대응 표현 - 94 -
4.2 한국어 보조용언‘(-어) 가다’, ‘(-어) 오다’와 중국어 복합방향보어 - 99 -
5. 결론 - 102 -
【참고문헌】 - 106 -
zh_TW
dc.format.extent 2960868 bytes-
dc.format.mimetype application/pdf-
dc.source.uri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1557002en_US
dc.subject (關鍵詞) 韓語學習zh_TW
dc.subject (關鍵詞) 補助用言zh_TW
dc.subject (關鍵詞) zh_TW
dc.subject (關鍵詞) zh_TW
dc.subject (關鍵詞) 韓中語言比較zh_TW
dc.title (題名) 韓國語補助用言與中文對應表現研究─以去、來為中心zh_TW
dc.title (題名)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uxiliary Verb and Their Equivalent Expressions in Chinese : Focused on `-a/e kata` and `-a/e ota`en_US
dc.type (資料類型) thesisen
dc.relation.reference (參考文獻)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어)
1. 고영진(1997),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풀이씨의 경우”, 어학연구6-1, 서울:서울대
2.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용법편”,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3. 김미영(1998), “국어 용언의 접어화”, 서울:한국문화사
4. 김성화(1991), “국어의 상 연구”, 서울:한신문화사
5. 김지은(1998),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6. 박선옥(2005), “국어 보조동사의 통사와 의미 연구”, 서울:역락.
7.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10), “한국어3”, 서울:[주]문진미디어.
8. 손세모돌(1996), “국어 보조용언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9. 안주호(1997),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10. 이성하(1998), “문법화의 이해”, 서울:한국문화사.
11. 임호빈(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

(중국어)
1. 房玉清(2008),實用漢語語法,北京:北京語言大學出版社。
2. 鄧守信(2011)譯,劉月華、潘文娛、故韡 著,實用現代漢語語法,台北:師大書院有限公司。
3. 呂叔湘(1980),現代漢語八百詞,北京:商務印書館。



학위 논문
1. 박주형(2013), “보조용언의 문법화와 어휘화 연구”,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 소림(2011), “한국어 ‘가다/오다’의 중국어 대응 형식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3. 웨이자오(2013), “한국어와 중국어 상의 문법화 대조 연구-‘-(고) 있-’과 ‘著’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4. 이남(2009), “한국어 보조용언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있다, 가다, 오다’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5. 이양(2014), “한국어 보조동사 ‘-어 가다, -어 오다’에 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6. 장용(2011), “한국어 ‘오다/가다’와 중국어 ‘來/去’의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7. 최대희(2002), “국어 풀이씨의 문법화 과정 연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학술 논문
1. 박선옥(2004), “외국어로서 한국어 보조동사 ‘가다’와 ‘오다’의 교육”, 漢城語文學, 제23집, pp. 161~186
2. 왕례량(2006), “한국어 보조용언과 중국어와의 대조 연구”, 문법 교육 5, 한국문법교육학회, pp. 261~297
3. 이남(2010), “한국어 ‘가다, 오다’와 중국어 대응 표현연구”, 문창어문논집, Vol: 47, pp. 109~130
4. 이연옥(2011), “이동 동사 ‘가다/오다’의 사용 양상에 대한 고찰 - 중국어 이동 동사 ‘去/來’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pp. 31~39.
5. 최해주(2006),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용언의 의미 범주 설정 및 그 활동 방안”,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pp. 125~159
6. 호광수(1999), 보조용언의 문법화 과정, 조선대 인문과학연구, 제21집, pp. 391~409



사전
(한국어)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2009)『고려대 한국어대사전』
2. 국립국어연구원(1999)『표준국어대사전』
3.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1998)『연세 한국어사전』
4. 이희자, 이종희(2008),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 서울:한국문화사

(중국어)
1. 中国社会科技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1997) ,現代漢語辭典,北京:商務印書館。
2. 周行健(1997) ,現代漢語規範用法大辭典,学苑出版社。
3. 辭海編輯委員會 (1999) ,辭海,上海:上海辭書出版社。
zh_T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