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Theses

Article View/Open

Publication Export

Google ScholarTM

NCCU Library

Citation Infomation

Related Publications in TAIR

題名 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研究
A Study of Focus-on-Form in Korean Proverbs Teaching
作者 裴英蘭
Bae, Young-Ran
貢獻者 陳慶智
Chen, Qing-Zhi
裴英蘭
Bae, Young-Ran
關鍵詞 韓國諺語
語法形式
基本形式
表達形式
諺語教學
諺語引用能力
Korean Proverbs
Grammatical form
Basic form
Expression form
Proverbs Teaching
Proverb Quotation
日期 2020
上傳時間 2-Jun-2020 11:13:46 (UTC+8)
摘要 本研究聚焦於韓國諺語之語法形式,旨在藉由分析語料,歸納諺語的語法形式,並運用於實際教學上,以期能結合理論與實務,增進諺語教學之效益。本研究的目標有二:一、透過辭典及新聞的語料觀察諺語的形式結構,將諺語的語法形式分為基本形式與表達形式;二、利用上述的諺語形式,設計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並實施實驗教學,針對臺灣韓語教學中的諺語課程提出具體的建議。
本研究選擇在韓國最具代表性的標準國語辭典及十六家新聞之諺語語料進行分析,探究韓國諺語的語法形式。將辭典的諺語語料,以韓語的語法單位為標準,挑選分類類型,歸納諺語的基本形式。接著藉由新聞語料檢視諺語形式的實際使用情形,並與諺語的基本形式比較分析,歸納諺語的表達形式。基於上述研究,實施「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從溝通與形式相互結合的教學觀點上,將教學過程分為注意、認識與活化三個階段,設計教學內容時利用大眾傳播媒體來具體呈現諺語的引用方式,並讓學生能在聽、說、讀、寫等各語言能力的訓練過程中充分地使用諺語。之後,並以臺灣C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為對象,透過教學實驗、教學評量及學習滿意度調查,分析本教學的效益與反思。
研究結果發現,韓國諺語的語法形式可分為基本形式與表達形式二大類別:一、基本形式類別可分為「句子型:動詞類、形容詞類、『이다』類」、「子句型:動詞類、形容詞類」及「詞組型:名詞組類、副詞組類(「副詞+語尾或助詞」組)」三個類別;二、表達形式類別可分為「原型」及「變異型:倒裝詞序類、取代類、添加類、省略類(子句單位、詞組單位、單詞單位)、混合類」二個類別。另外,透過實施「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後證實本教學研究有以下實效性:一、以諺語形式內容為主的教學,能提升學習者諺語引用的能力;二、大眾傳播媒體運用於教學的方式,能引起學習者的學習動機;三、聽、說、讀、寫能力的訓練,能培養韓語學習者較為完整的語用能力。然而透過實際教學,也發現一些有待改進的缺失:一、需增加教學時間,簡化教學內容;二、隨時注意學習者接受程度,調整講解語速。
筆者盼透過本文提高在韓語教學中對諺語課程的重視度,亦希望讓韓語研究者與教師注意到諺語形式的原形與不同形式間之變異關係。本研究所抽取出的諺語語法形式可用於擴增韓語的語言資源,並可作為韓語教師重要的參考資料,以及韓國語言學研究的素材。
The present dissertation aims to identify the grammatical form in Korean proverb and its Application to teaching. The two objectives of the study are: 1) to identify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 in Korean dictionary and news and to classify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 as fundamentals and expression; 2) to design Course Korean proverb contents and carry out experimental teaching to provide the effectiveness and advice of the proverbs course in Korean teaching for Taiwan learners.
In the present study, the grammatical form of Korean proverbs are identified from the corpus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16 general office of news. In the corpus of the dictionary, the procedures of analysis select the types of proverbs on the grammatical unit of Korean as basic and generalize the basic form of proverb. In the corpus of news, it investigates the forms of proverb used and compares them with the basic form of a proverb to classify the expression form of proverb. Based on the above classification, this study design and implement Focus on Form in Korean proverb t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cus on Form teaching method, by the teaching process into three categories: attention, cognition and activation, this study designs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mass media is actually used in teaching proverbs, which are used in the teaching of proverbs, to present the citation of proverbs, and to train them to develop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so that students can have channels to review and use proverbs correctly.
As a result, in the study of classifying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s, the basic form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ms: sentence, clause, and phrase. The expression form was classified into two forms: circular and variant. In the study of Korean proverbs centered on form, the educational effect was demonstrated after the educational experiment. The teaching of proverbs centered on grammar form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to quote proverbs; The use of mass media in teaching had an effect of giving interest to learners and motivation to learn; The practice of quoting proverbs in four area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ha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ability of applied Korean language. The improvem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eaching required the increase of the allocation of teaching time and the adjustment of the instructor`s speaking speed.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dissertation on the grammatical form in Korean proverb teaching can elucidate the fundamental form of Korean proverbs and illustrate variational connections between the original form of proverb and someone is unequal to a genre-specific communicative needs.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to enrich existing language resources in Korean, and they may also serve as important references for Korean teachers and Korean studies.
參考文獻 [中文文獻]

王俊(2018),《中韓‧韓中對譯技巧-I形象性語言:俚語、俗諺》,臺灣:瑞蘭國際。
林先渝(2013),〈韓語漢字成語的語源及其與中、日用語的異同〉,《韓國學研究論文集》;2期,pp.67–81。
林佩璇‧李俊湖‧詹惠雪(2018),《差異化教學》,臺灣:心理。
金玉蘭(2017),《韓漢諺語慣用語成語詞典》,大陸:商務印書館。
吳忠信(2003),〈中韓家庭俗諺比較〉,中國文化大學韓國語文學系所碩士學位論文。
張清濱(2018),《教學理論與方法》,臺灣:心理。
張筱儀(2017),〈漢、韓四字成語之對比與使用偏誤分析及成語教學建議 - 以中、高級韓籍華語學習者為對象〉,清華大學中國語文學系所碩士學位論文。
陳純音(2011),《第二語言教室研究》,臺灣:正中書句。
陳慶智(2014a),《有趣的韓國俚語‧俗諺》,臺灣:瑞蘭國際。
_______(2014b),〈國內線上韓語課程的實施現況與課題〉,《第一屆外語教學研討會論文集》, 國立政治大學外國語學院,pp.175-193。
_______(2017),〈臺灣高中第二外語教育的實施現況與課題-以韓語教育為中心〉,《高雄應用科技大學人文與社會科學學刊》;3卷2期,pp.1–12。
曹喜澈‧楊人從(2014),《史上最強韓語俗語慣用語》,臺灣:國際學村。
崔海滿(2009),〈對中國學習者韓語慣用語、俗語教育研究〉,山東大學語言系所碩士學位論文。
道格拉斯‧布朗(2016),《第二語教學最高指導原則》;第六版,臺灣:東華。
趙楊(2015),《第二語言習得》,大陸:外語教學與研究出版社。
詹志禹・蔡坤宏(2000),《教育大辭書》,臺灣:國家教育研究院。
鍾鎮城‧王萸芳‧胡依嘉‧曾金金‧齊婉先‧鄭琇仁‧鍾鎮城(2015),《第二語言習得與教學》,臺灣:新學林。

教育部 重編國語辭典修正本:
http://dict.revised.moe.edu.tw/cgi-bin/cbdic/gsweb.cgi?ccd=BWWkJ4&o=e0&sec=sec1&index=1
教育部 成語典:
http://dict.idioms.moe.edu.tw/cgi-bin/cydic/gsweb.cgi?ccd=A0WVJ8&o =e0&func =diccydicfunc.cydicdispatchpage&init=1&cache=1576588630712


[韓文文獻]

강성영(2003),「신조 속담과 속담 생성에 대한 연구」, 『한국프랑스학논문 집』44, 한국프랑스학회, pp.1-24.
강현화(2006),「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연구』18, 국어교육학회, pp.31-60.
국립국어원(2005a),『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커뮤니케이션북스.
__________(2005b),『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김경렬(2017),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문법과 의미 교육을 중심으로-」,『새국어교육』110, 한국국어교육학회, pp.183-212.
김나영(2008),「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교훈적 속담 교육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대행(2003),「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국어교육연구』12, 서울대학교 한국어연구소, pp.157-180.
김미순(2015),「속담의 ‘變化’ 요인에 대하여」,『언어학연구』37, 한국중원 언어학회, pp.69-89.
______(2017),「俗談의 ‘變化’ 현상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민정(2016),「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태기(1987),「초등 국어 교과서에 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의 뜻 바뀜에 대하여」, 『배달말교육』5, 배달말교육학회, pp.163-193.
김현숙(2017),「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의 위계화 방안」,『한국어교육』 157, 한국어교육학회, pp.411-436.
김호정(2016),「예보(豫報) 담화의 문법교육용 텍스트화 방향 연구 -일기예보 담화의 ‘상호적 메타기능’ 분석을 토대로-」,『국어교육연구』38, 국어교육학회, pp.27-65.
김혜령(2016),「속담 기반 표현의 특성」,『한국어 의미학』54, 한국어의미학회, pp.203-229.
노명희(2016),「속담의 구성적 특징과 변이 양상」,『국어학』80, 국어학회, pp.109-139.
노정동(2018),『보이지 않는 가격의 경제학』, Business & Economics.
민현식(2008),「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국어교육연구』2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261-334.
문금현(1996),「관용 표현의 생성과 소멸」,『國語學』28, 國語學會, pp. 301-333.
______(1999),『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태학사.
______(2000),「구어적 관용표현의 특징」,『언어』25, 한국언어학회, pp.51-71.
방성원(2009),「한국어 문법 평가 연구 -숙달도 평가와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문법교육』10, 한국문법교육학회, pp.175-203.
서정수•정달영(1998),『세계 속담 대사전』, 한양대학교출판부.
신기철•신용철(1989),『새 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심재기(1982a),『國語語彙論』, 集文堂.
______(1982b),「俗談의 綜合的 檢討를 僞하여」,『冠岳語文硏究』7, 서울대학 교 국어국문학과, pp.215-244.
______(2000),『國語 語彙論 新講』, 태학사.
송재선(1986),『우리말 속담 큰사전』, 서문당.
______(1993),『상말속담사전』, 東文選.
안경화(2001),「속담을 통한 한국 문화의 교육 방안」,『한국어교육』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43-163.
양민정(2009),「속담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중• 일 속담의 비교를 중심으로」,『세계문학비교연구』29, 세계문학비교학회, pp.59-82.
양명희(2015),「한국어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양지선(2007),「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과 동남아시 속담 비교 연구 : 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10a),『연세 한국어 읽기 4』,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0b),『연세 한국어 읽기 5』,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0c),『연세 한국어 읽기 6』,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a),『연세 한국어 4-1, 4-2』,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b),『연세 한국어 5-1, 5-2』,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c),『연세 한국어 6-1, 6-2』, 연세대학교출판부.
이기문(1997),『韓國의 俗談』, 三星文化文庫.
이수미(2000),「불어학 / 속담에 관한 몇 가지 언어학적 고찰」,『불어불문학 연구』44-2, 한국불어불문학회, pp.685-703.
______(2001),「속담어휘의 의미 기능」,『프랑스학연구』20, 프랑스학회, pp.167-185.
이익섭(2005),『한국어 문법』,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이은상(1929),「朝鮮俚諺의 轉訛에 對한 一考」,『신생』2-9, 신생사, pp.337-341.
이정희•김중섭 외(2015a),『경희 한국어 읽기4』, 하우출판사.
________________(2015b),『경희 한국어 읽기5』, 하우출판사.
________________(2015c),『경희 한국어 읽기6』, 하우출판사.
이종철(2003),「반의관계 속담의 연구」,『국어교육』112, 한국어교육학회, pp.339-371.
이진영(1998),「한영 속담의 비교와 그들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효정(2007),「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은하(2013),「속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속담 지도 방안 연구」,『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9, 연세대학교 언어교육연구, pp.247-276.
임지룡(1992),『국어의미론』, 탑출판사.
임효진・이순영(2019),「성취목표, 학습전략, 행동전략의 유형과 학업성취의 관계」,『한국초등교육』30-2, pp.1-16.
원영섭(1993),『우리속담사전』, 세창출판사.
정상진(1996),『우리 民俗과 傳統文化』,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정윤도(2014a),「대만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과제–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대조분석 교수법」,『韓國學硏究論文集』3, pp.57-71.
______(2014b),「대만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과제–겹받침 발음교육을 위한 기초 음운론」,『韓國學報』26, pp.5-31.
정종진(1999),『학교학습의 극대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조남호(2008),『속담 활용 글쓰기』, 랜덤하우스코리아.
조진수(2018),「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항범(2016),「轉訛된 속담의 어원에 대하여」,『국어사연구』23, 국어사학회, pp.307-331.
조현용(2007),「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한국어교육』1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23-458.
진경지(2002),「한•중 속담 비교 연구 : 변용과 와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______(2012),「온라인 속담 강의 개발 연구 -대만의 대학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2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95-420.
제민경(2007), 「언어 단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채연강(1985),「現代韓國語 連結語尾에 대한 硏究 : 意味機能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채연강•진경지•박병선(2007),「한국어 전자사전 속담 정보 활용을 위하여」, 『한국어문학 국제학술포럼 제3차 국제학술대회』, 한국어문학국제학술 포럼, pp.256-262.
최경봉(1995),「국어 사전에서의 관용적 표현의 처리문제 -관용어, 속담, 연어에 대한 처리를 중심으로」,『한남어문학』20, 한남어문학회, pp.265-286.
최근학(1978),『속담사전』, 耕學社.
최권진(2007),「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1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67-385.
최범훈(1983),「俗談에 나타난 難解語考」,『韓國言語文學』22, 한국언어문학회, pp.35-54.
최성곤(1995),「한일양국의 속담의 비교 고찰」,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창렬(1995),「우리말 속담의 변이형과 그 의미」,『한글』229, 한글학회, pp. 223-254.
______(1999),『우리속담연구』, 일지사.
한양대학교 국제어학원(2013a),『한양 한국어1』,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b),『한양 한국어2』,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c),『한양 한국어3』,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d),『한양 한국어4』,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e),『한양 한국어5』, 한양대학교출판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https://riks.korea.ac.kr
네이버뉴스스탠드 : https://riks.korea.ac.kr


[英文文獻]

C. G. Plopper, D. L. Dungworth, W. S. Tyler(1973). Morphometric Evaluation of Pulmonary Lesions in Rats Exposed to Ozone. Am J Pathol, 71-3, pp.395–408.
Diane Larsen-Freeman(2001). Teaching Grammar, UnitⅡ. language skills/Grammar and vocabrury.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cademia.edu. pp.251-266.
Doughty, C. & Williams, J.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Long, M. H. & Robinson, P.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15-4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Ferguson, D. & Anderson, T. (1981). Morphological evaluation of cell turnover in relation to the menstrual cycle in the “resting” human breast. Br J Cancer 44, pp.177–181. doi:10.1038/bjc.1981.168
Gavriel Salomon & David N. Perkins (1989). Rocky Roads to Transfer: Rethinking Mechanisms of a Neglected Phenomenon. educational psychologist, 24(2), pp.113-142.
JC Alderson, C Clapham, D Wall(1995). Language test construction and evalu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talin É. Kiss(1998). Identificational focus versus information focu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74(2), pp. 245-273.
Liaghat, F. & Biria, R. (2018). A Comparative Study on Mentor Text Modelling and Common Approaches to Teaching Writing in Iranian EFL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1(3), pp.701-720. https://doi.org/10.12973/iji.2018. 11347a
Long, M. & Robinson, P.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15-41).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andra S. Fotos(1993). Consciousness Raising and Noticing through Focus on Form: Grammar Task Performance versus Formal Instruction. Applied Linguistics, 14(4). pp.385–407.
Shapiro,S.S and Wilk, M.B. (1965). An analysis-of-variance test for normality (complete sample). Biometrika, 52. pp.591-611.
SJ Stanley, WJ Popham(1988). Teacher Evaluation: Six Prescriptions for Success. USA : A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iculum Development.
WE Rutherford. & MS Smith(1985). Consciousness-raising and Universal Grammar. Applied Linguistics, 6(3), pp.274–282.
描述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6557009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6557009
資料類型 thesis
dc.contributor.advisor 陳慶智zh_TW
dc.contributor.advisor Chen, Qing-Zhien_US
dc.contributor.author (Authors) 裴英蘭zh_TW
dc.contributor.author (Authors) Bae, Young-Ranen_US
dc.creator (作者) 裴英蘭zh_TW
dc.creator (作者) Bae, Young-Ranen_US
dc.date (日期) 2020en_US
dc.date.accessioned 2-Jun-2020 11:13:46 (UTC+8)-
dc.date.available 2-Jun-2020 11:13:46 (UTC+8)-
dc.date.issued (上傳時間) 2-Jun-2020 11:13:46 (UTC+8)-
dc.identifier (Other Identifiers) G0106557009en_US
dc.identifier.uri (URI) http://nccur.lib.nccu.edu.tw/handle/140.119/130084-
dc.description (描述) 碩士zh_TW
dc.description (描述) 國立政治大學zh_TW
dc.description (描述) 韓國語文學系zh_TW
dc.description (描述) 106557009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本研究聚焦於韓國諺語之語法形式,旨在藉由分析語料,歸納諺語的語法形式,並運用於實際教學上,以期能結合理論與實務,增進諺語教學之效益。本研究的目標有二:一、透過辭典及新聞的語料觀察諺語的形式結構,將諺語的語法形式分為基本形式與表達形式;二、利用上述的諺語形式,設計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並實施實驗教學,針對臺灣韓語教學中的諺語課程提出具體的建議。
本研究選擇在韓國最具代表性的標準國語辭典及十六家新聞之諺語語料進行分析,探究韓國諺語的語法形式。將辭典的諺語語料,以韓語的語法單位為標準,挑選分類類型,歸納諺語的基本形式。接著藉由新聞語料檢視諺語形式的實際使用情形,並與諺語的基本形式比較分析,歸納諺語的表達形式。基於上述研究,實施「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從溝通與形式相互結合的教學觀點上,將教學過程分為注意、認識與活化三個階段,設計教學內容時利用大眾傳播媒體來具體呈現諺語的引用方式,並讓學生能在聽、說、讀、寫等各語言能力的訓練過程中充分地使用諺語。之後,並以臺灣C大學韓國語文學系學生為對象,透過教學實驗、教學評量及學習滿意度調查,分析本教學的效益與反思。
研究結果發現,韓國諺語的語法形式可分為基本形式與表達形式二大類別:一、基本形式類別可分為「句子型:動詞類、形容詞類、『이다』類」、「子句型:動詞類、形容詞類」及「詞組型:名詞組類、副詞組類(「副詞+語尾或助詞」組)」三個類別;二、表達形式類別可分為「原型」及「變異型:倒裝詞序類、取代類、添加類、省略類(子句單位、詞組單位、單詞單位)、混合類」二個類別。另外,透過實施「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後證實本教學研究有以下實效性:一、以諺語形式內容為主的教學,能提升學習者諺語引用的能力;二、大眾傳播媒體運用於教學的方式,能引起學習者的學習動機;三、聽、說、讀、寫能力的訓練,能培養韓語學習者較為完整的語用能力。然而透過實際教學,也發現一些有待改進的缺失:一、需增加教學時間,簡化教學內容;二、隨時注意學習者接受程度,調整講解語速。
筆者盼透過本文提高在韓語教學中對諺語課程的重視度,亦希望讓韓語研究者與教師注意到諺語形式的原形與不同形式間之變異關係。本研究所抽取出的諺語語法形式可用於擴增韓語的語言資源,並可作為韓語教師重要的參考資料,以及韓國語言學研究的素材。
zh_TW
dc.description.abstract (摘要) The present dissertation aims to identify the grammatical form in Korean proverb and its Application to teaching. The two objectives of the study are: 1) to identify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 in Korean dictionary and news and to classify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 as fundamentals and expression; 2) to design Course Korean proverb contents and carry out experimental teaching to provide the effectiveness and advice of the proverbs course in Korean teaching for Taiwan learners.
In the present study, the grammatical form of Korean proverbs are identified from the corpus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16 general office of news. In the corpus of the dictionary, the procedures of analysis select the types of proverbs on the grammatical unit of Korean as basic and generalize the basic form of proverb. In the corpus of news, it investigates the forms of proverb used and compares them with the basic form of a proverb to classify the expression form of proverb. Based on the above classification, this study design and implement Focus on Form in Korean proverb t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cus on Form teaching method, by the teaching process into three categories: attention, cognition and activation, this study designs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mass media is actually used in teaching proverbs, which are used in the teaching of proverbs, to present the citation of proverbs, and to train them to develop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so that students can have channels to review and use proverbs correctly.
As a result, in the study of classifying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s, the basic form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ms: sentence, clause, and phrase. The expression form was classified into two forms: circular and variant. In the study of Korean proverbs centered on form, the educational effect was demonstrated after the educational experiment. The teaching of proverbs centered on grammar form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to quote proverbs; The use of mass media in teaching had an effect of giving interest to learners and motivation to learn; The practice of quoting proverbs in four area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ha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ability of applied Korean language. The improvem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eaching required the increase of the allocation of teaching time and the adjustment of the instructor`s speaking speed.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dissertation on the grammatical form in Korean proverb teaching can elucidate the fundamental form of Korean proverbs and illustrate variational connections between the original form of proverb and someone is unequal to a genre-specific communicative needs. The grammatical form of proverb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to enrich existing language resources in Korean, and they may also serve as important references for Korean teachers and Korean studies.
en_U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2
2.1. 속담의 변화 현상에 대한 연구 3
2.2. 속담을 활용한 교육 연구 4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7
3.1. 연구 대상 7
3.2. 연구 방법 8
4. 논의의 구성 9
Ⅱ. 한국 속담의 개념 11
1. 속담의 정의 11
2. 속담의 특징 15
Ⅲ. 한국 속담의 문법형식 분류 20
1. 속담의 기본형식 분류 20
1.1. 자료 20
1.2. 분류의 기준 및 방법 21
1.3. 분류 결과 22
2. 속담의 표현형식 분류 36
2.1. 자료 36
2.2. 분류의 기준 및 방법 37
2.3. 분류 결과 38
Ⅳ. 형식 중심의 한국 속담 교육 48
1. 형식초점 교수 원리 48
1.1. 이념 및 특징 48
1.2. 교수 원리 49
2. 교육 방안 51
2.1. 교육 목표 51
2.2. 교육 내용 52
2.3. 교육 방법 59
3. 교육 실험 61
3.1. 실험 설계 62
3.2. 예행실험 63
3.3. 본실험 65
4. 교육의 효과 분석 및 개선 방안 85
4.1. 효과 분석 85
4.2. 개선 방안 87
5. 교육의 의의 87
Ⅴ. 결론 90
참고문헌 93
부록 99
zh_TW
dc.format.extent 3400268 bytes-
dc.format.mimetype application/pdf-
dc.source.uri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6557009en_US
dc.subject (關鍵詞) 韓國諺語zh_TW
dc.subject (關鍵詞) 語法形式zh_TW
dc.subject (關鍵詞) 基本形式zh_TW
dc.subject (關鍵詞) 表達形式zh_TW
dc.subject (關鍵詞) 諺語教學zh_TW
dc.subject (關鍵詞) 諺語引用能力zh_TW
dc.subject (關鍵詞) Korean Proverbsen_US
dc.subject (關鍵詞) Grammatical formen_US
dc.subject (關鍵詞) Basic formen_US
dc.subject (關鍵詞) Expression formen_US
dc.subject (關鍵詞) Proverbs Teachingen_US
dc.subject (關鍵詞) Proverb Quotationen_US
dc.title (題名) 以形式為中心之韓國諺語教學研究zh_TW
dc.title (題名) A Study of Focus-on-Form in Korean Proverbs Teachingen_US
dc.type (資料類型) thesisen_US
dc.relation.reference (參考文獻) [中文文獻]

王俊(2018),《中韓‧韓中對譯技巧-I形象性語言:俚語、俗諺》,臺灣:瑞蘭國際。
林先渝(2013),〈韓語漢字成語的語源及其與中、日用語的異同〉,《韓國學研究論文集》;2期,pp.67–81。
林佩璇‧李俊湖‧詹惠雪(2018),《差異化教學》,臺灣:心理。
金玉蘭(2017),《韓漢諺語慣用語成語詞典》,大陸:商務印書館。
吳忠信(2003),〈中韓家庭俗諺比較〉,中國文化大學韓國語文學系所碩士學位論文。
張清濱(2018),《教學理論與方法》,臺灣:心理。
張筱儀(2017),〈漢、韓四字成語之對比與使用偏誤分析及成語教學建議 - 以中、高級韓籍華語學習者為對象〉,清華大學中國語文學系所碩士學位論文。
陳純音(2011),《第二語言教室研究》,臺灣:正中書句。
陳慶智(2014a),《有趣的韓國俚語‧俗諺》,臺灣:瑞蘭國際。
_______(2014b),〈國內線上韓語課程的實施現況與課題〉,《第一屆外語教學研討會論文集》, 國立政治大學外國語學院,pp.175-193。
_______(2017),〈臺灣高中第二外語教育的實施現況與課題-以韓語教育為中心〉,《高雄應用科技大學人文與社會科學學刊》;3卷2期,pp.1–12。
曹喜澈‧楊人從(2014),《史上最強韓語俗語慣用語》,臺灣:國際學村。
崔海滿(2009),〈對中國學習者韓語慣用語、俗語教育研究〉,山東大學語言系所碩士學位論文。
道格拉斯‧布朗(2016),《第二語教學最高指導原則》;第六版,臺灣:東華。
趙楊(2015),《第二語言習得》,大陸:外語教學與研究出版社。
詹志禹・蔡坤宏(2000),《教育大辭書》,臺灣:國家教育研究院。
鍾鎮城‧王萸芳‧胡依嘉‧曾金金‧齊婉先‧鄭琇仁‧鍾鎮城(2015),《第二語言習得與教學》,臺灣:新學林。

教育部 重編國語辭典修正本:
http://dict.revised.moe.edu.tw/cgi-bin/cbdic/gsweb.cgi?ccd=BWWkJ4&o=e0&sec=sec1&index=1
教育部 成語典:
http://dict.idioms.moe.edu.tw/cgi-bin/cydic/gsweb.cgi?ccd=A0WVJ8&o =e0&func =diccydicfunc.cydicdispatchpage&init=1&cache=1576588630712


[韓文文獻]

강성영(2003),「신조 속담과 속담 생성에 대한 연구」, 『한국프랑스학논문 집』44, 한국프랑스학회, pp.1-24.
강현화(2006),「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연구』18, 국어교육학회, pp.31-60.
국립국어원(2005a),『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커뮤니케이션북스.
__________(2005b),『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김경렬(2017),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문법과 의미 교육을 중심으로-」,『새국어교육』110, 한국국어교육학회, pp.183-212.
김나영(2008),「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교훈적 속담 교육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대행(2003),「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국어교육연구』12, 서울대학교 한국어연구소, pp.157-180.
김미순(2015),「속담의 ‘變化’ 요인에 대하여」,『언어학연구』37, 한국중원 언어학회, pp.69-89.
______(2017),「俗談의 ‘變化’ 현상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민정(2016),「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태기(1987),「초등 국어 교과서에 쓴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의 뜻 바뀜에 대하여」, 『배달말교육』5, 배달말교육학회, pp.163-193.
김현숙(2017),「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의 위계화 방안」,『한국어교육』 157, 한국어교육학회, pp.411-436.
김호정(2016),「예보(豫報) 담화의 문법교육용 텍스트화 방향 연구 -일기예보 담화의 ‘상호적 메타기능’ 분석을 토대로-」,『국어교육연구』38, 국어교육학회, pp.27-65.
김혜령(2016),「속담 기반 표현의 특성」,『한국어 의미학』54, 한국어의미학회, pp.203-229.
노명희(2016),「속담의 구성적 특징과 변이 양상」,『국어학』80, 국어학회, pp.109-139.
노정동(2018),『보이지 않는 가격의 경제학』, Business & Economics.
민현식(2008),「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국어교육연구』2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261-334.
문금현(1996),「관용 표현의 생성과 소멸」,『國語學』28, 國語學會, pp. 301-333.
______(1999),『국어의 관용표현 연구』, 태학사.
______(2000),「구어적 관용표현의 특징」,『언어』25, 한국언어학회, pp.51-71.
방성원(2009),「한국어 문법 평가 연구 -숙달도 평가와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문법교육』10, 한국문법교육학회, pp.175-203.
서정수•정달영(1998),『세계 속담 대사전』, 한양대학교출판부.
신기철•신용철(1989),『새 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심재기(1982a),『國語語彙論』, 集文堂.
______(1982b),「俗談의 綜合的 檢討를 僞하여」,『冠岳語文硏究』7, 서울대학 교 국어국문학과, pp.215-244.
______(2000),『國語 語彙論 新講』, 태학사.
송재선(1986),『우리말 속담 큰사전』, 서문당.
______(1993),『상말속담사전』, 東文選.
안경화(2001),「속담을 통한 한국 문화의 교육 방안」,『한국어교육』12-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43-163.
양민정(2009),「속담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한•중• 일 속담의 비교를 중심으로」,『세계문학비교연구』29, 세계문학비교학회, pp.59-82.
양명희(2015),「한국어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양지선(2007),「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과 동남아시 속담 비교 연구 : 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10a),『연세 한국어 읽기 4』,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0b),『연세 한국어 읽기 5』,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0c),『연세 한국어 읽기 6』,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a),『연세 한국어 4-1, 4-2』,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b),『연세 한국어 5-1, 5-2』, 연세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c),『연세 한국어 6-1, 6-2』, 연세대학교출판부.
이기문(1997),『韓國의 俗談』, 三星文化文庫.
이수미(2000),「불어학 / 속담에 관한 몇 가지 언어학적 고찰」,『불어불문학 연구』44-2, 한국불어불문학회, pp.685-703.
______(2001),「속담어휘의 의미 기능」,『프랑스학연구』20, 프랑스학회, pp.167-185.
이익섭(2005),『한국어 문법』,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이은상(1929),「朝鮮俚諺의 轉訛에 對한 一考」,『신생』2-9, 신생사, pp.337-341.
이정희•김중섭 외(2015a),『경희 한국어 읽기4』, 하우출판사.
________________(2015b),『경희 한국어 읽기5』, 하우출판사.
________________(2015c),『경희 한국어 읽기6』, 하우출판사.
이종철(2003),「반의관계 속담의 연구」,『국어교육』112, 한국어교육학회, pp.339-371.
이진영(1998),「한영 속담의 비교와 그들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효정(2007),「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은하(2013),「속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속담 지도 방안 연구」,『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9, 연세대학교 언어교육연구, pp.247-276.
임지룡(1992),『국어의미론』, 탑출판사.
임효진・이순영(2019),「성취목표, 학습전략, 행동전략의 유형과 학업성취의 관계」,『한국초등교육』30-2, pp.1-16.
원영섭(1993),『우리속담사전』, 세창출판사.
정상진(1996),『우리 民俗과 傳統文化』,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정윤도(2014a),「대만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과제–한국어와 중국어 모음의 대조분석 교수법」,『韓國學硏究論文集』3, pp.57-71.
______(2014b),「대만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과제–겹받침 발음교육을 위한 기초 음운론」,『韓國學報』26, pp.5-31.
정종진(1999),『학교학습의 극대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조남호(2008),『속담 활용 글쓰기』, 랜덤하우스코리아.
조진수(2018),「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항범(2016),「轉訛된 속담의 어원에 대하여」,『국어사연구』23, 국어사학회, pp.307-331.
조현용(2007),「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한국어교육』1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423-458.
진경지(2002),「한•중 속담 비교 연구 : 변용과 와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______(2012),「온라인 속담 강의 개발 연구 -대만의 대학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한국어교육』2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95-420.
제민경(2007), 「언어 단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채연강(1985),「現代韓國語 連結語尾에 대한 硏究 : 意味機能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채연강•진경지•박병선(2007),「한국어 전자사전 속담 정보 활용을 위하여」, 『한국어문학 국제학술포럼 제3차 국제학술대회』, 한국어문학국제학술 포럼, pp.256-262.
최경봉(1995),「국어 사전에서의 관용적 표현의 처리문제 -관용어, 속담, 연어에 대한 처리를 중심으로」,『한남어문학』20, 한남어문학회, pp.265-286.
최근학(1978),『속담사전』, 耕學社.
최권진(2007),「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1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67-385.
최범훈(1983),「俗談에 나타난 難解語考」,『韓國言語文學』22, 한국언어문학회, pp.35-54.
최성곤(1995),「한일양국의 속담의 비교 고찰」,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창렬(1995),「우리말 속담의 변이형과 그 의미」,『한글』229, 한글학회, pp. 223-254.
______(1999),『우리속담연구』, 일지사.
한양대학교 국제어학원(2013a),『한양 한국어1』,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b),『한양 한국어2』,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c),『한양 한국어3』,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d),『한양 한국어4』, 한양대학교출판부.
_____________________(2013e),『한양 한국어5』, 한양대학교출판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https://riks.korea.ac.kr
네이버뉴스스탠드 : https://riks.korea.ac.kr


[英文文獻]

C. G. Plopper, D. L. Dungworth, W. S. Tyler(1973). Morphometric Evaluation of Pulmonary Lesions in Rats Exposed to Ozone. Am J Pathol, 71-3, pp.395–408.
Diane Larsen-Freeman(2001). Teaching Grammar, UnitⅡ. language skills/Grammar and vocabrury.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cademia.edu. pp.251-266.
Doughty, C. & Williams, J.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Long, M. H. & Robinson, P.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15-4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Ferguson, D. & Anderson, T. (1981). Morphological evaluation of cell turnover in relation to the menstrual cycle in the “resting” human breast. Br J Cancer 44, pp.177–181. doi:10.1038/bjc.1981.168
Gavriel Salomon & David N. Perkins (1989). Rocky Roads to Transfer: Rethinking Mechanisms of a Neglected Phenomenon. educational psychologist, 24(2), pp.113-142.
JC Alderson, C Clapham, D Wall(1995). Language test construction and evalu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talin É. Kiss(1998). Identificational focus versus information focu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74(2), pp. 245-273.
Liaghat, F. & Biria, R. (2018). A Comparative Study on Mentor Text Modelling and Common Approaches to Teaching Writing in Iranian EFL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1(3), pp.701-720. https://doi.org/10.12973/iji.2018. 11347a
Long, M. & Robinson, P.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15-41).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andra S. Fotos(1993). Consciousness Raising and Noticing through Focus on Form: Grammar Task Performance versus Formal Instruction. Applied Linguistics, 14(4). pp.385–407.
Shapiro,S.S and Wilk, M.B. (1965). An analysis-of-variance test for normality (complete sample). Biometrika, 52. pp.591-611.
SJ Stanley, WJ Popham(1988). Teacher Evaluation: Six Prescriptions for Success. USA : A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iculum Development.
WE Rutherford. & MS Smith(1985). Consciousness-raising and Universal Grammar. Applied Linguistics, 6(3), pp.274–282.
zh_TW
dc.identifier.doi (DOI) 10.6814/NCCU202000411en_US